출시 10년 토스 “5년내 이용자 절반, 외국인으로 확장”

  • 동아일보

코멘트

“2800만명 이용… 작년 흑자 예상”
스타트업에 5년간 1조 지원 밝혀

토스가 간편 송금 서비스 출시 10주년을 맞아 금융 서비스를 넘어 일상의 ‘슈퍼 앱’으로 진화하겠다고 밝혔다.

26일 이승건 토스(회사명 비바리퍼블리카) 대표(사진)는 서비스 출시 10주년을 맞아 서울 성동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연간 흑자를 예상한다. 올해부터는 기록적 이익을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앞으로의 100년은 금융을 넘어 모든 영역, 오프라인, 글로벌에도 다가가는 데 집중하는 기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스는 2015년 간편 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인터넷 전문 은행, 증권으로 영역을 확장하며 이달 기준 2800만여 명의 가입자를 확보한 대표 핀테크 기업으로 꼽힌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 페이(얼굴 인증 결제)가 되는 결제 단말기 보급 등을 통해 ‘카드나 지갑이 필요 없는 삶’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전국 오프라인 상점 180만 곳의 6%(10만 곳) 정도 침투한 상황”이라면서 “고객들이 안심하고 쓸 수 있도록 명의 도용 등 사고 발생 시 토스가 선제적으로 보상하는 안심보장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5년 내 이용자의 절반을 외국인으로 채우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미국 상장(IPO)과 관련해서는 “현재 단계에서는 결정된 것이 없다”고 전했다.

검은 셔츠에 면바지, 운동화를 신고 기자들 앞에 선 이 대표는 후배 창업자들의 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 향후 5년간 1조 원을 지원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특히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 20여 종을 이르면 6월 말 외부에 개방하기로 했다. △사용자경험(UX) △AB 테스트 △그래픽 디자인 도구 등 기획자가 개발자나 디자이너의 도움 없이도 아이디어를 서비스로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들이다.

이 대표는 “10년 전의 토스가 필요했던 것들을 (후배 창업자들에게) 선물하는 기분”이라면서 “이런 도구들 덕분에 토스뱅크는 7조 원 예금 달성을 3주 만에 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 당국의 제재와 관련한 입장도 내놨다. 토스는 2022년 전자영수증 거래 정보 2928만 건을 정보 주체 동의 없이 토스 회원의 카드 거래 명세와 결합·이용해 문제가 됐다. 금융 당국이 당초 중징계를 검토하다 징계 수위를 낮춘 것이 알려지며 ‘봐주기’ 논란이 불거졌다. 그는 “제재 판단은 감독 당국이 하는 것이고, 피감기관인 저희가 코멘트할 수 있는 입장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결정된 부분에 따르는 게 저희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토스#간편 송금 서비스#금융 서비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