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오른쪽)가 롯데그룹 화학군 부스를 살펴보고 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제공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가 리튬인산철배터리(LFP) 양극재, 고체전해질 등을 개발해 종합 배터리 소재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 현장에서 동아일보 기자와 만나 “최근 3세대 LFP 양극재 개발을 완료해 파일럿 샘플을 국내외 배터리사에 제공했다”고 말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최근 삼성SDI와 일본의 여러 배터리사에 LFP 양극재 샘플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전신인 일진머티리얼즈 때부터 쌓아 온 리튬망간산화물(LMO) 양극재 기술과 공정을 활용해 새로운 영역인 LFP 양극재 개발에 뛰어들었다. 전북 익산시에 있는 LMO 양극재 생산라인을 개조해 파일럿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김 대표는 “LMO 양극재 공정과 LFP 양극재 공정이 유사한 점이 있다. 기존 인프라 및 전문 인력을 활용해 개발에 나설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LFP 배터리는 현재 중국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열 안정성이 뛰어나고 가격경쟁력이 좋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아 한국 기업들은 니켈·코발트·망간(NCM)배터리를 주로 개발해 왔다. 하지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완성차 업계가 보급형 소형 전기차로 시선을 돌리며 최근 LFP 배터리의 수요가 늘고 있다. 아직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양산을 준비 중이다. 김 대표는 “국내 배터리사는 LFP 양극재 등 대부분의 소재를 중국 기업에 의존하고 있다”며 “올해 말이나 내년 초쯤 국산 양극재를 활용한 LFP 배터리가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차세대 이차전지인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파일럿 라인도 가동 중이다. 아직 특정 업체가 선점하지 않은 고체전해질 개발에도 속도를 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것. 김 대표는 “고체전해질은 중국도 아직 개발 중인 단계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앞서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배터리 업계의 기술 혁신 로드맵을 따라갈 수 있는 배터리 소재 회사만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