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경상수지 29억4000만 달러…설연휴로 조업일수 줄어 흑자 규모 급감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7일 15시 07분


코멘트
7일 부산항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경상수지는 29억4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이로써 21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지속했다. 다만 흑자 규모는 같은 달 기준 역대 1위 기록이었던 지난해 12월(123.9억 달러)과 비교해, 한 달 새 94억3000만 달러 급감했다. 2025.3.7 (부산=뉴스1)
올 1월 경상수지가 29억 달러 흑자를 거두면서 21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다만 계엄 및 탄핵 사태, 미국의 관세 전쟁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2월에 비해 4분의1 토막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 1월 경상수지는 29억4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21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지만, 경상수지 규모는 지난해 4월(14억9000만 달러) 이후 가장 적었다. 지난해 12월(123억9000만 달러)과 비교했을 때는 94억3000만 달러 급감한 수준이다.

한은은 올해 설 명절 연휴가 1월로 이동하면서 흑자 규모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입장이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매년 말 수출 집중에 따른 기저 효과로 1월에는 통관 무역수지가 많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며 “올해는 설 연휴까지 1월에 있어 조업일수가 4일 감소한 점도 있어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직전달 및 전년 동월 대비 모두 축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25억 달러)가 조업일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전년 동기(43억6000만 달러)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수출(498억1000만 달러)의 경우 1년 전보다 9.1% 줄어들었는데, 이는 2023년 9월 이후 16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것이다. 통관 기준으로는 컴퓨터(14.8%)·반도체(7.2%) 등 정보기술(IT) 품목은 증가했으나 석유제품(―29.2%)·승용차(―19.2%) 등 비IT 품목의 감소 폭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밖에 수입(473억1000만 달러)도 6.2% 감소했으며 서비스수지는 20억6000만 달러 적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비스수지의 경우 겨울 방학, 설 명절 연휴 동안 해외 여행객이 늘면서 여행수지(―16억8000만 달러) 적자폭이 커진 점의 영향을 받았다.

한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수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했다. 송 부장은 “미국 정부 관세 정책은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 등을 통해 우리 수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출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1월 경상수지#흑자#연휴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