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이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 고령운전자 7명 구했다
뉴시스(신문)
입력
2025-03-10 09:12
2025년 3월 10일 09시 12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교통안전공단 AIoT 기술로 소방·경찰 자동 신고
참여 고령 운전자 70% “더 빨리 구조될 것 같다”
ⓒ뉴시스
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충남 예산군에서 시범운영한 이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이 폐쇄회로(CC)TV 사각지대에서 사고를 당한 고령운전자 7명을 구조했다고 10일 밝혔다.
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은 이륜차 사고 발생 시 사물인터넷(AIoT) 기반 기술을 통해 충격량 및 기울기 등 모션센서가 사고의 경중을 판단, 구조가 필요할 경우 관할 소방서와 경찰서에 자동으로 신고되는 시스템이다.
희망자에 한해 이륜차 운전자의 혈액형 및 지병 등의 건강정보를 확인하고, 사고발생 시 등록된 지인에게 문자 발송이 이뤄져 신속한 개인 맞춤형 응급대응이 가능하다.
이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 시범사업이 도입되기 전인 2023년 7월 예산군에서는 이륜차 단독사고 발생 후 사고자 발견부터 신고까지 총 56분이 소요돼 고령운전자가 사망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시스템 도입 이후 시범사업 기간 내에 발생한 고령운전자 이륜차 사고들은 사고 발생 후 90초만에 사고 인지를 했다. 이후 119 신고에 이르기까지 약 5분이 걸려 사고 발생부터 사고 신고까지의 소요시간을 약 91% 단축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9월23일 오전 11시 31분께 예산군에서 고령운전자가 저혈당 쇼크로 운전 중 이륜차에서 낙상한 사고가 발생했으며 90초만에 가족에게 문자가 발송됐다. 이후 소방서의 효과적인 응급처치가 이뤄졌다.
이런 방식으로 시범사업 기간인 2023년 11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CCTV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이륜차 사고 피해 고령운전자 7명이 구조됐다.
이륜차 사고자동신고 시스템을 설치한 고령운전자 3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 수행 결과 응답자 70%(21명)가 “이륜차 사고자동신고 시스템 도입 이후에 사고가 발생했을 때 더 빨리 구조될 것 같다”고 응답해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교통안전공단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광역지자체 혹은 전국단위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륜차 사고자동신고 장치를 제도화할 계획이다. 나아가 이륜차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다양한 이동수단에 사고자동신고 시스템을 적용할 방침이다.
정용식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고령자가 많은 농·어촌 지역에서 이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이 고령운전자가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드는데 큰 보탬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초고령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하고 세심한 교통안전 사업을 발굴go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정청래 “호남 의원들 왜 안왔나” 기강잡기
“연기만으론 못 버틴다”…송영규가 드러낸 조연 배우의 현실
검경 접근 금지 조치에도 살인으로 이어진 스토킹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