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로 상시 모니터링… 국민 가스 안전 첨단기술로 관리

  • 동아일보

코멘트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노후 위험시설 및 LPG 안전 강화
디지털 기반 상시 관리 체계 도입
수소 관련 신산업, 탄소중립 선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에서 여섯 번째)과 관계자들이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35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등을 심의하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제공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에서 여섯 번째)과 관계자들이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35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등을 심의하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제공
정보기술(IT)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도시가스 시설을 상시 모니터링하는 등 가스 안전관리의 디지털화가 추진된다. 또한 가정이나 상점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액화석유가스(LPG) 고무호스를 금속배관으로 교체하는 사업이 확대되고 노후 가스설비를 교체하는 사업이 추진되는 등 생활 주변의 가스 안전관리가 강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체계적인 가스안전관리를 위해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추진할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미래를 선도하는 가스안전관리 체계’ 혁신을 목표로 △고위험 시설 안전 강화 △신산업발전 및 탄소중립 선도 △디지털 기술 활용 및 자율안전 강화 △관리체계 고도화, 안전문화 확산 등 4대 전략 목표가 제시됐다. 각 전략 목표별로 세부 실행 계획을 담은 10대 과제도 선정됐다.

가스안전관리를 향상시켜 국민 생활의 안전을 강화하고, 이를 위해 가스안전관리 체계에 디지털 기술과 민간자율 시스템을 도입하며, 탄소중립 등 친환경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소 기술 관련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시스템을 정비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고위험 시설 안전 강화’는 △LPG 시설 안전관리 강화 △취약시설 가스안전 지원 확대 △노후 대형가스 시설 중점관리 등의 내용으로 추진된다.

LPG 시설관리 강화를 위해 LPG 충전소 및 LPG 이동 수단으로 쓰이는 벌크로리 안전장치가 개발된다. 사고 발생 시 가스 누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안전장치 및 가스 사고 지점에 다가가지 않고 원격으로 충전을 차단하는 ‘원격 무선 긴급차단 장치’ 등을 개발해 도입하기로 했다. LPG 소형저장 탱크의 이상신호를 실시간 확인 가능한 원격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해 보급하고, LPG 배관망 및 지역축제장의 가스시설 관리도 강화된다. 취약시설 가스안전 지원 확대를 위해 노후 주택의 LPG 고무호스를 금속배관으로 교체하는 사업을 확대한다. 1차 사업대상 가구 중의 압력조정기 퓨즈콕 등 노후된 가스설비도 교체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집배원이 취약지역을 방문해 가스 안전 확인 후 위험우려 시설에 대해 가스안전공사가 점검 및 개선작업을 하는 복지등기 사업도 확대된다. 노후화된 정유 석유화학시설 안전관리도 강화된다. 대형 가스시설 중점관리를 위해 정밀 안전검진 대상을 확대하고 로봇진단, 비파괴기술(PAUT) 등의 신기술을 도입하기로 했다.

‘신산업 발전 및 탄소중립 선도’를 위해서는 수소신기술 관련 안전기준을 개발하고 수소검사 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수소생산설비 및 수소 모빌리티 연료전지 설비에 대한 안전기준을 개발하며 수소제품 검사 및 시험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부품 국산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디지털 기술활용 및 자율안전 강화’를 위해 최신 IT와 사물인터넷(IoT), AI를 도입해 상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빅데이터와 첨단기술을 활용해 도시가스 배관의 안전을 관리하고 IoT 기술을 활용해 도시가스 시설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기로 했다. 안전관리 우수기업을 우대하고 자율안전관리 및 사고대응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고압가스 판매시설 및 운반차량에 대한 검사 체계를 강화하고, 고압용기 및 저장탱크의 민간 검사기관 관리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공사는 또한 가스 안전교육을 확대하여 가스 안전문화를 더욱 확산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한국가스안전공사#가스안전관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