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차량용 자체 설계 반도체 양산 시작

  • 동아일보

코멘트

핵심 부품용 반도체 R&D 검증 마쳐
실리콘밸리에 연구거점도 신설

현대모비스가 2020년 인수한 차량용 반도체 제조사 현대오트론과 함께 자체 설계한 차량용 반도체 양산을 늘리기로 했다.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미국 실리콘밸리에 연구 거점도 세운다.

18일 현대모비스는 올해 전동화, 전장, 램프 등 핵심 부품용 반도체 연구개발(R&D)과 신뢰성 검증을 마치고 양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올해 양산하는 주요 반도체로는 전기차의 전원 제어 기능을 합친 전원통합칩과 램프구동 반도체 등이다. 이미 공급 중인 배터리관리집적회로(IC)의 경우 성능을 향상시키기로 했다.

글로벌 조사기관에 따르면 현재 양산 중인 차량에 많게는 3000여 개의 반도체가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듯 모빌리티 산업의 전장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현대모비스는 현대오트론 인수와 함께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먼저 현대모비스는 전력반도체 설계 내재화를 통해 전동화 가치사슬을 완성하기로 했다.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주행거리와 구동 능력을 향상하는 반도체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전력반도체 여러 개를 통합하고 냉각 기능을 추가해 더 큰 단위인 ‘파워모듈’을 양산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전력반도체를 시작으로 전기차 구동계의 모든 부품을 자체적으로 생산할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전원, 구동, 통신, 감지, 네트워킹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내년에는 실리콘 기반 고전력 반도체(Si-IGBT), 차세대 배터리 관리 IC와 실리콘카바이드 기반 전력반도체(SiC-MOSFET)는 각각 2028년, 2029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해외 인재 확보를 위해 미 실리콘밸리에 전문 연구 거점도 신설하기로 했다. 박철홍 현대모비스 반도체사업 담당 전무는 “실리콘밸리에 신설할 연구 거점에서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를 확대 구축하고, 해외 주요 기업들과의 연구개발 협력 사례를 늘릴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전동화와 전장부품용 핵심 반도체 독자 개발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현대모비스#차량용 반도체#현대오트론#반도체 R&D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