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아마존 등 AI센터 건립 추진
관세 여파 건설자재값 상승 불가피
소비자 AI서비스 비용도 증가할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공지능(AI) 붐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AI 모델을 위한 데이터센터 구축 비용이 늘어나 투자가 위축되고, 늘어난 비용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됐다.
14일 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은 미국 현지를 비롯해 멕시코, 인도, 말레이시아 등 지역에 총 1조 달러(약 1420조 원)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여파로 데이터센터를 짓는 데 필요한 철강 등 건설자재를 비롯해 발전기, 변압기, 냉각장치 등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에 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번스타인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데이터 처리 기기 수입 규모는 약 2000억 달러에 달한다. 대부분 멕시코와 대만, 중국, 베트남에서 들여왔다. 여기에 데이터센터의 핵심인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대한 품목 관세까지 도입될 경우 구축 비용은 더욱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은 10일(현지 시간)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관세가 AI 모델 운영 비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파악하기 위해 24시간 내내 연구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업계에선 데이터센터 구축 비용이 15∼20%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빅테크 기업들은 AI 모델 개발 및 운영을 위해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이었다. 구글은 올해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에 75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MS도 8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밝혔지만 최근 일부 데이터센터 건설을 보류했다. 트럼프 재임 기간 5000억 달러를 AI 데이터센터 건설에 투자하는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합작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역시 관세 정책으로 차질을 빚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관세 쇼크가 현실화되면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AI 서비스 비용도 비싸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미국 AI 기업 아이세라의 무두 수다카르 CEO는 “데이터센터 건설 비용이 올라가면 빅테크들은 그 비용을 전가할 수밖에 없다”며 “AI 사용 비용도 함께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