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펙스 산하 상설위원회로 신설
산학계 보안전문가 대거 참여
SKT “유심보호, 전고객 가입 완료”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후속 조치로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정보보호 혁신특별위원회의 위원장을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사진)이 맡게 된다. 이번 사안을 그룹 전체의 이슈로 보고 그룹 내 최고 의사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가 직접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SK는 14일 그룹 내 계열사의 보안 리스크를 사전에 감지·차단하고, 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독립형 전문 기구인 ‘정보보호 혁신특별위원회’를 출범해 본격 활동에 나선다고 밝혔다. 위원회 위상을 높이기 위해 그룹 최고 의사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 산하 9번째 위원회로 설치하는 한편 학계와 산업계 인사 등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키기로 했다.
위원장은 최 의장이 직접 겸직으로 맡을 예정이다. 윤풍영 SK주식회사 AX 사장이 실무를 책임지는 부위원장을 맡는다. 위원회에는 거버넌스 위원장과 SK주식회사,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네트웍스, SK브로드밴드, SK스퀘어 등 계열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SK는 위원회의 보안 전문성과 운영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학계와 산업계 등 외부 보안 전문가를 공식 멤버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정부 혁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권헌영 고려대 교수가 외부 자문위원장을 맡는다. 이 외에 최경진 가천대 교수, 이병영 서울대 교수, 김용대 KAIST 정보통신기술(ICT) 석좌교수 등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위원회는 우선 그룹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실제 해킹 기술을 활용해 시스템 취약점을 점검하고 보완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의 정보보호 체계를 글로벌 기준에 맞춰 재정비하고 외부 검증에 나선다.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고객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립하고, 거버넌스·식별·보호·탐지·대응 등 보안 체계를 구성하는 5개 핵심 영역에 대한 종합 컨설팅도 함께 실시한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날 해외 로밍 이용자를 포함해 사실상 전체 사용자의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12일부터는 해외 로밍 고객에게도 유심보호서비스가 적용되도록 조치한 바 있다.
실물 유심 교체 고객은 13일 밤 12시까지 10만 명이 추가돼 누적 교체 고객이 총 169만 명으로 늘어났다. 대기 중인 잔여 유심 교체 예약 고객은 707만 명이다. SK텔레콤은 다음 주초부터 도서 벽지에 거주하는 가입자와 취약계층을 직접 찾아가 유심을 교체하거나 재설정하는 서비스를 진행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