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AS CS’로 미래 기후 시나리오 반영 설계 가능
가뭄·홍수 대응 농업용수 공급 안정화 목표
민간 활용 통해 농업 인프라 혁신 기대
한국농어촌공사는 10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수리·수문 설계시스템(K-HAS CS)’을 개발, 지난 2일부터 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민간에 무료로 개방했다고 밝혔다.
K-HAS CS는 기존 수리·수문 설계시스템(K-HAS)에 기후변화 요소를 추가한 프로그램으로, 2100년까지의 기상자료 예측치를 활용해 농업용 시설물을 설계할 수 있다. 이는 가뭄과 홍수 등 기후변화에 대응해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공사는 기후변화 가속화로 농업용수 관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설계기준을 재정립하고, 2024년에는 국내 최초로 미래 가뭄을 고려한 저수지 등 시설물 규모 산정 방법을 개발했다. K-HAS CS는 이러한 기준과 방법을 바탕으로 민간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농어촌공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17년 기후변화대응부를 신설, 현재 기후정책추진단으로 운영하며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실태조사, 설계기준 정립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곽영철 기후정책추진단장은 “농업은 기후변화 영향을 직접 받는 산업으로, 안정적인 용수 공급 환경이 필수적이다.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시설물 전 생애주기에 기후변화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