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소비자물가 증가율이 2%대에 머물고 있는데도 서민들이 느끼는 물가가 높은 이유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격하게 오른 생활물가를 꼽았다.
18일 한국은행은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상반기(1∼6월)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이 목표 수준인 2% 근방에서 오르내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생활물가가 이미 급격하게 상승한 탓에 가계 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2019년 말과 비교했을 때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5.9% 올랐는데 생활물가는 19.1%, 식료품물가는 22.9%나 올랐다.
한국의 필수재 물가도 주요국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의식주 물가를 100으로 놓았을 때 한국의 의류 물가는 161, 식료품은 156, 주거비는 123 수준이다. 특히 2021년 이후 올해 5월까지 필수재 중심의 생활물가 누적 상승률은 19.1%로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3.2%포인트 높았다.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양극화 심화도 주거비 부담을 키운다. 한국의 주택가격 양극화지수(전국 주택가격 대비 주요 도시 주택가격의 배율)는 1.5배에 육박하며 중국, 일본 등을 제쳤다. 청년층 인구가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수요가 몰렸는데, 수요가 줄어든 비수도권의 주택 공급이 확대되며 양극화가 심화됐다. 올 3월 기준 지역별 체감 자가주거비는 전국이 100만 원인데 서울은 229만 원이나 됐다. 가장 적은 전남(49만 원)과 비교하면 서울이 4.7배 수준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