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네 바퀴로 달리다 걷는 ‘달탐사 차량’ 특허 출원

  • 동아일보

코멘트

바퀴에 다리 달려 험지에선 걸어
군사용 등 다른 분야 활용도 가능
도요타-GM 등과 본격 우주 경쟁

특허정보 검색서비스 키프리스(KIPRIS)에 등록된 현대자동차그룹의 달 탐사용 하이브리드 차량 이미지.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특허정보 검색서비스 키프리스(KIPRIS)에 등록된 현대자동차그룹의 달 탐사용 하이브리드 차량 이미지.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지형에 따라 이동 형태를 달리할 수 있는 달 탐사용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미래 유망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우주 분야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23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특허정보 검색서비스 키프리스(KIPRIS)에 등록된 특허 출원서 속 차량은 바퀴가 달린 다리 4개를 갖췄다. 관절이 있는 각각의 다리는 개별적으로 작동하며 분화구가 있는 달 표면에서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오르막에서는 앞다리를 접고 뒷다리를 늘려 차체를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바위가 많고 고도가 가팔라 바퀴로 이동하기 어려운 지형에서는 직접 걸어 올라갈 수도 있다.

이 차량은 동물의 보행 방식에서 착안해 움직인다. 단기간에 울퉁불퉁한 지형을 걸어 횡단할 때는 낮은 자세로 파충류의 보법을 모방하지만, 완만한 지형에서는 포유류처럼 이동한다. 심층 강화 학습(DRL)을 활용해 스스로 보행 방식이나 속도, 이동 방향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은 현대차그룹이 2022년 개발을 공식화한 달 탐사 차량 ‘로버’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추후 달 탐사 로봇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섭씨 영하 170도에서 영상 130도를 오가는 극한의 환경에서 험로를 주행할 수 있어 군용차 등 타 모빌리티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도 크다.

해외 완성차 기업들도 달 탐사 관련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 도요타는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등과 달 탐사 로버 ‘루나 크루저’를 개발하고 있다. 이 로버는 차 내 기압을 조정해 우주복을 착용하지 않고도 내부 활동이 가능하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 역시 2021년 록히드마틴과 손잡고 아르테미스에 활용될 달 탐사 로버 개발에 착수했다. 일본 혼다는 차량과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을 활용해 재사용할 수 있는 로켓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우주 산업에 열을 올리는 것은 우주 탐사가 통신, 에너지, 광물 자원 등 다방면에서 경제적·안보적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우주 산업과 관련된 경제 규모가 2023년 기준 6300억 달러(약 870조 원)에서 2035년 1조8000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안재명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달 탐사 기술은 막대한 개발비가 수반되는 초고난도 기술 분야이기에 기업 단독의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기업의 개발 부담을 낮추기 위해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한편 미 항공우주국(NASA) 등 해외 기관과의 협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현대자동차그룹#키프리스#달 탐사용 하이브리드 차량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