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계정 공유 ‘유료화’ 시행.. 고객은 공동구독 플랫폼으로

  • 동아경제
  • 입력 2025년 6월 25일 10시 12분


코멘트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가 오늘(24일) 한국에서 계정 공유 유료화 정책을 시행했다. 국내에선 이미 넷플릭스가 이 같은 계정 공유 유료화를 실시 중이고, 토종 OTT인 티빙 역시 오는 7월 1일부터 이를 시행한다고 예고한 상태다.

디즈니플러스에 따르면, 앞으로 멤버십(구독권)을 “다른 집에 사는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추가 회원 자리’를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 기존에 많은 이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던 방식인 ‘다른 집에 사는 사람’과의 공유를 위해 앞으로 추가 요금을 내야 되도록 변화된 셈이다. 계정 공유가 금지된 것은 아니지만, 유료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같은 집에 사는 사람’들 간의 계정 공유는 별도의 추가 요금 없이도 여전히 기존처럼 공유할 수 있다.

‘추가 회원 자리’의 별도 구매는 계정 주인이 진행할 수 있다. 계정 주인이 ‘추가 회원
자리’를 구매한 후, 초대해 줄 ‘다른 집에 사는 사람’에게 이메일로 초대장을 발송하면 된다.초대장을 받은 사람이 초대를 수락하면 간단하게 절차가 완료된다.

‘추가 회원 자리’는 별도의 추가 요금이 발생하는 만큼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계정 주인과는 서로 다른 별도의 ID/PW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PIN번호 보안 시스템보다 더 강화된 개인정보 보호, 시청 내역 보호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공유가 가능해졌다.

디즈니플러스는 ‘추가 회원 자리’를 4,000원으로 책정해 출시했다.

이번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기존에 디즈니+를 공유하며 이용하던 그룹들이 다수 해체된 것으로 보이며, 이들 중 다시 디즈니+를 이용할 공유 그룹을 찾는 유저들이 ‘공동구독 플랫폼’들로 대거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많은 소비자들이 공동구독 플랫폼을 찾는 이유로는 △최고 화질로 시청이 가능한 점 △정가 대비 제일 저렴한 금액 수준으로 이용이 가능한 점 △함께 구독을 구매할 사람을 제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점 △매달 1/N 자동 정산이 가능한 점 △원할 때 언제든 일할 계산으로 정산하여 중도 해지가 가능한 점 △인터넷 카페나 커뮤니티 등에서 발생하는 소액 사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가능한 점 등이 있다.

한편 넷플릭스에 이어 디즈니플러스와 티빙까지 ‘가족 외 계정 공유’를 정식 기능으로
포함시키며, 구독 시장 내에서 ‘공동구독 플랫폼’으로 유저들이 몰리는 현상은 앞으로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피클플러스측은 “변화하는 구독 시장 환경에 발맞춰 더 다양한 구독 서비스들을 선보이겠다”면서 “앞으로도 편리하고 저렴한 서비스를 유지하며, 높은 소비자 만족도가 지속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