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로보택시 서비스 첫발을 떼자 선두 주자인 구글의 웨이모도 서비스 지역을 확장하며 맞불을 놨다. 테슬라의 추격을 견제하며 시장 선점에 나선 것이다. 로보택시 업체 간 경쟁이 미국 내에서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웨이모는 차량공유업체 우버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4일(현지 시간) 밝혔다. 웨이모 로보택시는 애틀랜타 시내 약 168㎢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우버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고속도로와 공항은 운행 구간에서 제외됐다.
웨이모는 지난해 9월 우버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올해 3월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한 바 있다. 현재 오스틴에서는 웨이모 차량 100대가 우버 플랫폼을 통해 달리고 있다. 웨이모는 애틀랜타에서도 수십대로 서비스를 시작해 수요에 맞춰 차량 대수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웨이모는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LA), 실리콘밸리, 피닉스 등지에서도 이미 1500대가 넘는 자율주행차를 운영하고 있다. 유료 탑승 실적은 1000만 건에 달한다. 웨이모는 뉴욕을 비롯해 워싱턴DC 등 동부 지역까지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웨이모의 이번 서비스 확장 발표는 테슬라가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한 직후에 나와 더 주목받고 있다. 앞서 테슬라는 22일 오스틴 내에서 제한적으로 유료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에는 테슬라의 최신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모델Y 차량이 활용된다. 테슬라는 서비스 초기 안정성 논란을 피하기 위해 조수석에 ‘안전 감시자’를 동승시키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용 고객도 당분간 소수의 인플루언서로 한정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