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9일(현지시간) 미국 리듬파마슈티컬스(Rhythm Pharmaceuticals, 이하 리듬파마)에 기술수출한 경구용 희귀비만증 치료 신약 후보물질 ‘비바멜라곤(Bivamelagon, 개발명 LB54640)’의 시상하부비만증 임상 2상 톱라인 결과를 리듬파마가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임상결과 리듬파마 주사 방식 치료제인 ‘세트멜라노타이드(Setmelanotide)’ 과거 임상 유효성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리듬파마는 미국, 유럽 규제 당국과 임상 3상 디자인을 위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제형 개선 연구도 병행한다.
리듬파마는 작년 7월부터 시상하부 기능이 손상돼 식욕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12세 이상 시상하부비만증(Hypothalamic Obesity) 환자 28명을 모집해 약물 복용 14주차 시점 체질량 지수(BMI) 변화 값을 평가했다. 시상하부는 시상, 뇌하수체 등과 함께 간뇌를 구성하는 요소로 시상의 하단에 위치한 작은 부위다. 사람의 전체 뇌에서 가운데 깊숙한 곳에 있다.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조절해 항상성을 유지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 인체 호르몬과 체온, 수분, 생체 리듬 등을 조절한다.
리듬파마 발표에 따르면 고용량(600mg) 군에서 복용 14주째 BMI가 9.3% 감소했고 중용량(400mg) 군에서는 7.7%, 저용량(200mg) 군에서는 2.7%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비교 대상인 위약군에서는 2.2% BMI 증가가 나타났다. 안전성과 내약성은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흔하게 보고된 이상사례로는 설사와 오심이 있는데 대부분 경미했다고 한다. 해당 임상 결과는 오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미국내분비학회(ENDO, Endocrine Society) 연례회의에서도 발표할 예정이다.
비바멜라곤은 LG화학이 자체 개발해 지난해 1월 리듬파마에 글로벌 라이선스를 이전한 포만감 신호 유전자(MC4R, Melanocortin-4 Receptor) 작용제다. 선급금으로 책정된 1억 달러(약 1372억 원) 중 4000만 달러(약 549억 원)가 이번 3분기 LG화학 실적에 반영된다. 선급금 외에 판매허가 승인 및 상업화 단계별 마일스톤을 수령하게 되고 정식 판매에 들어가면 별도 로열티도 받을 수 있다.
데이빗 미커(David Meeker) 리듬파마슈티컬스 CEO는 “이번 톱라인 결과는 비바멜라곤의 시상하부비만증 환자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고 적절한 용량 범위를 확립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미국과 유럽 규제 당국과 협력해 임상 3상 디자인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은 “현재 희귀비만증 분야에서는 제한적인 치료 옵션으로 인해 더 편리하고 효과적인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지속 커지는 추세”라며 “비바멜라곤이 희귀비만증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제공하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