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 6개 주요택배사 ‘업무만족도’ 조사발표

  • 동아경제
  • 입력 2025년 7월 11일 10시 45분


코멘트

쿠팡CLS 62%로 선두, 타사 5% 이하
월평균 휴무일수 차이도 뚜렷
소득과 업무환경이 만족도에 영향

국내 주요 택배사의 택배기사 업무여건 조사 결과, 주5일 이하 업무비율은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쿠팡CLS)가 62%로 가장 높았고, 컬리넥스트마일(컬리) 5%, 롯데택배 4%, 한진택배와 CJ대한통운 각 1.5%, 로젠택배 1%로 나타났다.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는 6개 주요 택배사(CJ대한통운, 로젠택배, 롯데택배, 한진택배, 컬리, 쿠팡CLS) 소속 택배기사 1203명을 대상으로 ‘택배기사 업무 여건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 7월 11일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수행한 이번 조사는 택배기사의 업무환경과 직무 만족도를 파악해 제도개선과 운영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기획됐다.

월평균 휴무일수 조사에서 쿠팡CLS는 월 5일 이상 휴무 비율이 66.7%로 가장 높았고, 컬리 20.8%, CJ대한통운 11.5%, 로젠택배 8% 순이었다. 월평균 8일(주 2일) 이상 휴무 비율은 쿠팡CLS 49.7%, 컬리 5%, 롯데·로젠택배 3%, 한진택배 2.5%, CJ대한통운 0%로, 택배사 간 차이가 컸다.

업무일 수에서도 차이가 확인됐다. 대부분 택배사는 주 6일 이상 업무비율이 95% 이상으로 고정업무 체계를 운영 중이나, 쿠팡CLS는 주 5일 이하 업무비율이 62%로 유연한 업무환경을 제공했다. 업무일 수 만족도는 쿠팡CLS가 52.3%로 유일하게 과반을 넘었고, 한진택배는 35%로 가장 낮았다.

장기 휴무(연속 3일 이상) 경험은 전체 평균 26%로, 쿠팡CLS가 49.0%로 가장 높았고, 한진택배 23.0%, CJ대한통운 19.0%, 롯데택배 18.5%, 로젠택배 17.8%, 컬리 8.9% 순이었다.

택배기사가 배송일에 업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61.3%는 영업점 또는 택배사가 대체인력을 확보한다고 답했고, 36.7%는 대체인력 비용을 영업점 또는 택배사가 부담한다고 밝혔다. 쿠팡CLS는 대체인력 확보와 비용 부담 응답률이 각각 79.0%, 66.3%로 높아, 대체인력 수급과 비용 부담이 휴무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월평균 총수입은 전체 응답자 기준 516.9만 원으로, 컬리가 578.2만 원, 쿠팡CLS 569.5만 원, 롯데택배 498.5만 원, 로젠택배 494.6만 원, CJ대한통운 493.5만 원, 한진택배 471.1만 원 순이었다.

직업만족도는 92.4%가 ‘보통 이상’으로 답했으며, 만족도가 높다는 응답은 46.2%, 평균 점수는 60.2점(100점 만점)이었다. 택배업 시작 계기는 ‘성과 기반 수익’(34.2%)과 ‘당장 수입 필요’(19.4%)가 주를 이뤘다. 소득 만족도는 로젠택배 50.5%, 컬리 46.5%, 쿠팡CLS 46.0%, 롯데택배 44.5%, CJ대한통운 43.5%, 한진택배 32.5% 순이었으며, 쿠팡CLS 야간기사는 52.7%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전반적인 직업 만족도는 롯데택배 61.9점, 쿠팡CLS 61.0점, 로젠택배 60.9점 순으로 높았다. 업무일 수와 업무 강도 만족도에서도 이들 회사가 상위권을 차지해 업무환경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택배업 지속 의향은 CJ대한통운 67.6점, 쿠팡CLS 66.3점 순이었다.

야간 배송을 운영하는 컬리와 쿠팡CLS 기사들은 야간 배송 선호 이유로 ‘교통 혼잡 적음’(36.7%), ‘주간보다 수입 높음’(32.9%), ‘낮시간 개인시간 활용’(20.7%)을 꼽았다. 지난해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 조사에서도 야간 배송 불가 시 ‘다른 야간 일자리’를 찾겠다는 응답이 56.8%로, ‘주간 일자리’(25.6%)보다 높았다.

권용장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 회장은 “이번 조사는 택배사별 업무·휴무일 차이를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다. 우수 운영사례를 참고해 택배기사 업무환경 개선과 제도 논의에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