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저녁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12차 전원회의에서 민주노총 소속 근로자위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사용자위원과 한국노총 근로자위원들만이 참여해 2026년 최저임금을 10,320원으로 합의하며 이인재 위원장, 권순원 공익위원이 브리핑을 준비하고 있다. 2025.7.10 뉴스1
2026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오른 1만320원으로 결정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고육지책의 심정으로 합의는 했지만 현실적 부담은 여전하다”며 정부와 국회를 향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11일 입장문을 내고 “외환위기보다 더 심한 역대급 위기 상황에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추가 인건비 부담은 한계 상황의 소상공인들에게 당장의 경영난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와 국회는 일자리안정자금 부활, 소상공인 경영 안정 자금 지원 확대 등 다각적인 방안을 실효성 있게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중소기업계도 입장문을 내고 지속적으로 건의했던 업종별 구분적용과 최저임금 동결이 무산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이번 인상으로 현장의 충격과 부작용은 상당할 것”이라며 “국내 고용의 80%를 책임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은 인건비 부담 증가로 고용과 사업의 지속 여부를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의점 업계는 “17년 만에 이뤄진 노사 간 사회적 합의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내년에는 업종 특성을 고려한 차등 적용이 꼭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영업자들은 지금 같은 불황기에는 소폭의 최저임금 인상도 부담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소규모 커피숍을 운영하고 있는 양모 씨는 “최저임금이 1만1000원까지 오를까 걱정했는데 그 정도는 아니어서 다행”이라면서도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인건비는 계속 오르니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최저임금 인상으로 늘어난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키오스크나 테이블 오더, 서빙 로봇 등의 활용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는 “최저임금이 300원 오르면서 2인 기준 인건비 부담이 월 15만 원 이상 늘어나게 됐고, 물류비와 용역비 등도 함께 오르기 때문에 실제 부담은 그 이상”이라며 “더 이상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매장을 중심으로 무인화 추세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