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일자리 자금 지원 등 실질대책 필요”
키오스크-서빙 로봇 등 무인화 늘 듯
내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으로 결정된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앞에 올해(2025년) 최저임금 금액이 적힌 안내문이 놓여 있다. 내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으로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 합의를 거쳐 결정됐다. 민주노총 위원 4명이 예상보다 낮은 심의 촉진 구간에 반발하며 퇴장했지만, 한국노총 측과 함께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사공 합의로 결정됐다. 이는 올해 최저임금(1만30원)보다 290원(2.9%) 높은 금액으로, 내년도 최저임금의 월 환산액(월 노동시간 209시간 기준)은 215만6880원이다. 이번 인상률은 역대 정부 첫 해 인상률 중에서는 김대중 정부(2.7%)에 이어 두 번째로 낮다. 2025.07.11. 서울=뉴시스
2026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오른 1만320원으로 결정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고육지책의 심정으로 합의는 했지만 현실적 부담은 여전하다”며 정부와 국회를 향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11일 입장문을 내고 “외환위기보다 더 심한 역대급 위기 상황에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추가 인건비 부담은 한계 상황의 소상공인들에게 당장의 경영난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와 국회는 일자리 안정 자금 부활, 소상공인 경영 안정 자금 지원 확대 등 다각적인 방안을 실효성 있게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이번 인상으로 현장의 충격과 부작용은 상당할 것”이라며 “국내 고용의 80%를 책임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은 인건비 부담 증가로 고용과 사업의 지속 여부를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의점 업계는 “17년 만에 이뤄진 노사 간 사회적 합의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내년에는 업종 특성을 고려한 차등 적용이 꼭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영업자들은 지금 같은 불황기에는 소폭의 최저임금 인상도 부담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소규모 커피숍을 운영하고 있는 양모 씨는 “최저임금이 1만1000원까지 오를까 걱정했는데 그 정도는 아니어서 다행”이라면서도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인건비는 오르니 부담이 된다”고 했다. 서울 동대문구에서 편의점을 운영 중인 김모 씨는 “몇백 원 오른 것 같아도 주휴수당 등 각종 수당이 붙으면 실질 시급은 1만3000원을 훌쩍 넘는다”며 “심야 시간에만 고용 중인 아르바이트생도 인건비 때문에 근무 시간을 줄여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늘어난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키오스크나 테이블 오더, 서빙 로봇 등의 활용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는 “최저임금이 290원 오르면서 2인 기준 인건비 부담이 월 15만 원가량 늘어나게 됐고, 물류비와 용역비 등도 함께 오르기 때문에 실제 부담은 그 이상”이라며 “더 이상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매장을 중심으로 무인화 추세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