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27일이후 서울 거래량 81% 감소
중위 전용면적도 84㎡→78㎡ 줄어
“저가 급매물 위주로 거래 이뤄져”
‘노도강’ 등으로 풍선효과 아직 없어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1300채 이상 아파트 단지에서 3일 전용면적 76㎡가 33억3000만 원에 거래됐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를 내놓은 지난달 27일 같은 평수가 35억 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1억7000만 원 떨어졌다.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정부의 규제 정책 이후 매매 거래가 없다시피 한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싸게 내놓은 매물 위주로만 거래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담보대출 상한선을 6억 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강남권 등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가격 중간값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80% 이상 급감하는 등 거래가 위축되면서 시세보다 싸게 거래하는 급매 위주로 팔린 데다, 자금 마련 부담이 커져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소형 아파트 거래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1일 부동산 플랫폼 기업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27 대출규제 이전(지난달 10∼27일) 7150건이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규제 이후(지난달 28일∼이달 15일) 1361건으로 81% 감소했다. 중위가격은 10억9000만 원에서 8억7000만 원으로 2억2000만 원 줄어들었다. 거래된 중위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줄어들었다. 더 작은 평형이 주로 거래됐다는 의미다.
특히 고가 아파트 단지가 밀집된 서울 강남권에서는 대출 규제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중간가격이 하락하고, 거래도 크게 위축됐다. 서초구 아파트 중위 거래가격은 23억7500만 원에서 19억6500만 원으로 4억1000만 원이 낮아졌다. 거래량도 134건에서 13건으로 급감했다. 강남구에서는 중위가격이 29억 원에서 26억 원으로 약 3억 원 하락했다. 다만 송파구는 규제 전보다 중위가격이 3000만 원 떨어지며 상대적으로 조정폭이 적었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도 강남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마포구의 중위가격은 15억2750만 원에서 12억2000만 원으로, 용산구는 18억500만 원에서 15억4000만 원으로 낮아졌다. 성동구는 15억8000만 원에서 14억600만 원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수도권도 비슷했지만, 거래 감소폭이나 중위가격 하락폭은 서울보다 작았다. 규제 영향을 덜 받는 중저가 아파트의 비중이 더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규제 전 수도권 아파트 중위가격은 6억6000만 원이었지만, 규제 후 중위가격은 5억 원이었다. 거래량도 2만474건에서 5529건으로 73% 감소했다.
● 대출 규제 ‘풍선효과’는 안 나타나
주로 한강변 고가 아파트를 겨냥한 6·27 대출 규제로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의 가격이 오르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관측도 많았다. 하지만 이번 조사 결과에서 대부분 지역에서 풍선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오히려 중위가격이 낮아지고 거래량도 줄어드는 흐름이 나타났다. 노원구 중위가격은 5억9500만 원에서 5억1900만 원으로 낮아졌다. 금천구에서도 중위가격은 5억8250만 원에서 5억4500만 원으로 조정됐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자금 여건과 대출 가능 범위에 따라 거래 가능한 아파트 조건이 달라진 것”이라며 “다만 거래 자체가 급감했기 때문에 조정 흐름이 일시적인지, 실제 가격이 떨어진다는 신호인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