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구축-소프트웨어 개발 등 기술력으로 관리 시스템 개발
프라이빗-퍼블릭 클라우드 통합 관리 가능해 다양한 고객사 확보
전력 이원화-원격제어 시스템 등 데이터센터 안정성 향상 노력도
경기 김포시에 위치한 신세계아이앤씨 데이터센터는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설계했고, 선제적인 기술 및 인프라 투자를 지속하며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신세계아이앤씨는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 기반 비즈니스로 리테일 시장을 넘어 물류, 제조, 금융 등 다양한 산업 전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비즈니스로 ‘물류-제조-금융’까지 진출
신세계아이앤씨는 리테일 분야에 특화된 클라우드 기술력과 구축 경험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부터 네이티브 개발까지 클라우드 풀스택 기반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있다.
가상화 솔루션 이관부터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까지 클라우드 전 분야에 걸친 컨설팅, 인프라 구축은 물론이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운영 분야까지 각 분야 전문 조직의 역량을 결집해 비즈니스를 전개 중이다.
특히 글로벌 기업 뉴타닉스(Nutanix)의 챔피언 등급 파트너사로서 차별화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기술력과 서비스 제공 역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신세계아이앤씨의 ‘스파로스 CMP’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부터 퍼블릭 클라우드 자원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분야 대표 플랫폼이다.신세계아이앤씨는 ‘스파로스 CMP’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리테일, 제조 등 다양한 고객사를 확보하는 등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대표 사업자로 자리매김한다는 포부다.
‘스파로스 CMP’는 클라우드 자원의 운영 상황, 비용 등 실시간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인프라 자원, 클라우드 형상·이력 관리 등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관리 플랫폼이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부터 퍼블릭 클라우드 자원까지 통합 관리하며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전략까지 확장 가능해 리테일, 제조 등 다양한 고객사를 확보하며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분야의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GS인증 1등급을 획득한 데 이어 국가정보원의 보안 기능 확인서까지 취득하며 기술 품질과 보안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클라우드 가상화 자원 관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자원 배포 및 통합 관리, 클라우드 인프라 워크플로 자동화 등 클라우드 매니지먼트 분야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며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365일 24시간 안전한 첨단 데이터센터 기반 대외 비즈니스 영토 확장
신세계아이앤씨는 자사의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SDDC·Software Defined Data Center)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도 확장하고 있다.
경기 김포시에 위치한 신세계아이앤씨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서비스 등에 활용되는 고집적 인프라 수용과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설계해 운영 중이다. 데이터센터로 공급되는 전력원과 전력공급장치 및 선로를 이원화하고, 배터리실을 전기실과 분리해 격실 구조를 갖췄다. 무정전 전원장치(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원격제어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선제적인 인프라 투자를 통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화재 확산 방지포, 급속 배기 장치 등 설비와 오프가스(Off-Gas·가연성 탄화수소 가스)를 감지해 배터리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화재 대응력 향상에 노력해 올 6월에는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주관 ‘경기 창의안전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자사 데이터센터의 첨단 설비와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인 분야로 재해 복구(DR·Disaster Recovery) 시스템을 꼽을 수 있다. 재해 복구 시스템은 기업의 데이터 자산을 보호하고, 365일 24시간 중단 없는 시스템 운영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주요 시스템과 데이터를 이중화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각종 자연재해 및 재난, 장애 상황, 사이버 테러 등 보안 위협 등이 증가하는 시장 상황에 맞춰 데이터센터의 안정성과 재해 복구 시스템 관련 기술력을 기반으로 주도권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이 밖에도 AI 서비스 확대에 따라 예상되는 수요 증가세를 고려해 선제적으로 기술과 인프라 투자를 지속하며 고효율, 고집적 데이터센터로 운영 효율화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