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비트코인보다 낫다?”…은값 치솟은 이유는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7월 25일 04시 15분


코멘트

은, 14년 만에 최고가…올해 들어 35%↑
‘저평가 자산’ 인식 확산… 산업재 수요도 폭증
“금보다 변동성 커…조정 가능성 유의해야”

1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실버바가 진열돼있다.  은 가격이 13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미국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 따르면 은 선물(7월 인도분) 가격은 10일 트로이온스당 37.02달러까지 올랐다. 1년 전보다 24.2% 상승한 수치다. 2025.06.11. [서울=뉴시스]
1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실버바가 진열돼있다. 은 가격이 13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미국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 따르면 은 선물(7월 인도분) 가격은 10일 트로이온스당 37.02달러까지 올랐다. 1년 전보다 24.2% 상승한 수치다. 2025.06.11. [서울=뉴시스]
올해 은 상승률이 경쟁 자산인 금·비트코인을 제쳤다. 금·비트코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인식이 투자 심리를 자극한 가운데 산업재로서 수요도 증가한 영향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 은 현물은 전날 오후 6시(트레이딩뷰 기준) 1트로이온스당 39.07달러에 거래됐다. 연초 대비 35.27% 상승한 수치다. 이는 지난 2011년 이후 14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같은 기간 국제 금 현물과 비트코인은 각각 29%와 27% 올랐다. 통상 세 자산 중 상승률이 가장 낮았던 은이 올해는 이례적으로 역전한 것이다. 과거 대부분의 기간에서 연간 상승률 기준으로 비트코인, 금, 은 순으로 높았다.

은이 올해 들어 35% 급등하며 금·비트코인을 넘어선 배경은 저평가 자산으로서 진입장벽이 낮아 투자 대체재로 주목받은 영향이다. ‘금은 비싸고,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크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개인·기관 투자자 모두에게 매력도가 높아진 것이다.

실제로 최근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는 은 관련 미결제약정과 대규모 거래가 급증했다. 이는 은에 대한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자금 유입과 투기적 수요가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은이 산업재로서 수요가 폭증한 것도 힘을 보탰다. 은은 금속 중 전기 전도성이 가장 높아 전기차와 태양광 패널, 반도체 등 신성장 산업에 필수적으로 쓰인다. 산업용 수요가 전체 수요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다.

매년 은 시장 보고서를 발간하는 실버 인스티튜트(Silver Institute)에 따르면 지난해 은 산업 수요는 6억8050만온스를 기록했다. 4년 연속 사상 최고치다. 올해 역시 7억온스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글로벌 은 공급은 5년 연속 수요를 밑돌고 있다. 수급 효과에 따라 공급 부족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추가 상승도 점쳐진다. 씨티와 맥쿼리 등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내년까지 은이 1트로이온스당 최대 43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은이 금보다 2배 가까운 변동성을 지닌 만큼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 가능성을 유의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또 산업 수요 의존도가 큰 만큼 공급망 변화 등을 확인해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