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사재기’ 논란 확산…정부 “소비쿠폰 품목 제한은 어려워”

  • 뉴스1
  • 입력 2025년 7월 25일 16시 16분


코멘트

외국계 대기업 고가 제품·주류 등 판촉 자제 업계에 요청

25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점포 안내문이 붙어 있다.2025.7.25/뉴스1
25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점포 안내문이 붙어 있다.2025.7.25/뉴스1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과 관련해 담배 사재기나 외국계 대기업 고가 전자제품 구매 등 일부 오남용 사례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품목별 제한 조치는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편의점 업계에는 특정 고가 품목의 판촉행사나 마케팅을 자제해달라고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25일 뉴스1과의 통화에서 “특정 품목을 제한하기 시작하면 어디까지 허용하고 어디서부터 제한할지 경계가 모호해진다”며 “현실적으로는 품목 단위의 제한 조치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사회적으로 유해하거나 허위 정보가 아닌 이상 개별 콘텐츠 자체를 제지할 권한은 없다”며 “취지에 맞는 소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편의점 업계에 협조를 요청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소비쿠폰으로 담배 사재기 하는 법’, ‘편의점에서 에어팟 사는 방법’ 등 소비쿠폰을 담배나 고가 물품에 활용하는 사례를 소개하는 게시글과 영상이 다수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는 지난 17일 한국편의점산업협회 및 주요 편의점 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스마트워치·고가 전자제품·외국산 주류 등 소비쿠폰과 연계한 판촉행사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15일에는 소상공인연합회와 만나 영세 소상공인의 매출 확대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협조 요청을 받은 바 있다.

특히, 소상공인들 사이에서는 소비쿠폰 사용이 일부 업종에 집중되는 ‘풍선효과’를 우려하고 있다.

한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대형 편의점 가맹점에서의 소비가 늘면 골목상권은 상대적으로 피해를 입는다”며 “정부가 영세 상점을 대상으로 소비를 유도하는 캠페인 등 추가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자가 나흘 만에 289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지급 대상자(5060만여 명) 가운데 57.1%가 신청했으며, 이들에게 정부는 총 5조2186억 원을 지급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