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 특화 AI 이미지 생성 플랫폼 젝터스튜디오(Jector Studio)가 7월, 외식업 소상공인의 피드백을 반영한 대규모 업데이트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젝터스튜디오는 이번 개편으로 약 100종의 포스터 템플릿, 20종의 특수 스타일 폰트, 음식의 질감을 강조하는 ‘AI 맛강조’ 기능을 추가했으며, 이를 통해 AI메뉴사진의 표현력을 높였다.
생성 이미지는 배달앱(예: 배달의민족)에 즉시 등록 가능한 연동 기능까지 갖추며 실무 편의성을 강화했다.
운영사 커넥트브릭의 최명철 CMO는 “소상공인 상생을 목표로,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젝터스튜디오를 개발했다”며 “한 장당 500원, 20초 이내 빠른 생성이 가능한 시스템을 통해 포스터부터 배달앱 등록 이미지까지 실전에 바로 쓸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AI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스튜디오 촬영에 수십만 원과 수일이 소요되던 기존 방식을 대체해, 누구나 웹에서 빠르고 쉽게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했다. 앱 설치 없이 브라우저 기반으로 바로 사용 가능하며, 템플릿 선택만으로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어 디지털 접근이 낮은 고령층 사용자도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배달앱 플랫폼의 까다로운 이미지 검수 기준에 부합하는 자동 최적화 템플릿과 고화질 보정 기능도 탑재돼, 디자인 경험이 없는 사장님도 손쉽게 고퀄리티 AI메뉴사진 제작을 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미국 배달 플랫폼 DoorDash에서도 자사 입점 소상공인을 위한 AI 이미지 생성 기능을 도입한 바 있다. 이는 젝터스튜디오가 추구하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과 상생 방향성과 궤를 같이하며, 국내에서도 관련 흐름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젝터스튜디오는 올 하반기, 커머스 이미지 영역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한다. 동시에 공개 예정인 신기술 ‘ShowFit(쇼핏)’은 이미지 내 제품, 배경, 인물 등을 현실감 있게 자동 생성하는 기능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젝터스튜디오는 배달앱, 테이블오더, SNS 콘텐츠 제작에 특화된 실전형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향후 POS, 주문 플랫폼, 프랜차이즈 본사 등과의 제휴를 통해 디지털 상생 생태계 조성에 힘쓸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