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반도체 부진 커

  • 뉴시스(신문)

코멘트

영업익 4.6조…전년비 55% 하락
반도체, 영업익 4000억…‘어닝쇼크’
DX, 영업익 3.3조…모바일 ‘견조’

8일 서울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깃발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8일 ‘2025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올 2분기 매출 74조원, 영업이익 4조6000억원 수준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74조700억원 대비 0.0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0조4400억원 대비 55.94% 줄었다.  특히 영업이익은 증권사 추정 컨센서스(3개월 평균) 6조1833억원 대비 1조5000억원가량 적었다. 전기 대비로는 매출이 6.49%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이 31.24% 감소했다. 2025.07.08. [서울=뉴시스]
8일 서울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깃발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8일 ‘2025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올 2분기 매출 74조원, 영업이익 4조6000억원 수준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74조700억원 대비 0.0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0조4400억원 대비 55.94% 줄었다. 특히 영업이익은 증권사 추정 컨센서스(3개월 평균) 6조1833억원 대비 1조5000억원가량 적었다. 전기 대비로는 매출이 6.49%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이 31.24% 감소했다. 2025.07.08. [서울=뉴시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74조5663억원, 영업이익 4조6761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매출은 0.67%, 영업이익은 55.23% 하락했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은 매출 27조9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당초 시장에서는 DS부문의 영업이익을 1조원 안팎으로 전망했는데, 실제 성적은 이를 훨씬 밑돈 것이다.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선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은 11%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전분기 대비 8000억원 감소했다. 전년 동기(6조4500억원)와 비교하면 6조원 이상 급감했다.

메모리는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와 고용량 DDR5 제품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했으며, 데이터센터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판매가 증가했다.

시스템 LSI는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공정을 적용한 시스템온칩(SoC)을 공급하며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으나, 첨단 제품 개발 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

파운드리는 전분기 대비 큰 폭의 매출 개선을 이뤘으나,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으로 재고 충당금이 발생했다. 또 성숙 공정 라인의 가동률 저하가 지속되면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스마트폰과 TV 등 사업이 주력인 DX(디바이스경험)부문은 매출 43조6000억원, 영업이익 3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경험(MX)사업부는 신모델이 출시된 1분기 대비 판매량은 감소했으나,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견조한 판매가 지속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성장했다. 또한 리소스 효율화를 통해 견조한 두 자리 수익성을 유지했다.

네트워크는 해외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와 리소스 효율화로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

TV 사업을 하는 영상가전(VD)사업부는 Neo QLED,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초대형 TV 등 전략 제품의 판매 비중이 확대됐으나, 글로벌 경쟁 심화로 실적이 하락했다.

생활가전은 성수기에 진입한 에어컨 판매 호조와 고부가가치 AI 가전 제품 판매 확대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됐다.

이와 함께 전장·오디오 자회사 하만은 매출 3조8000억원, 영업이익 5000억원을 달성했다.

디스플레이(SDC)는 매출 6조4000억원, 영업이익 5000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폰 신제품 수요와 IT·자동차에 공급되는 중소형 패널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대형은 게이밍 시장 중심으로 고성능 QD-OLED 모니터용 디스플레이 판매가 확대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