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를 견인하던 제조업이 사면초가의 위기 상황에 처했다. 국내 제조업의 주력 제품 중 80% 가량이 ‘레드오션’ 상황에 놓여있고, 경쟁 우위에 있는 사업은 16.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부족과 시장 불확실성 증가에 신사업 진출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4일 전국 제조업체 2186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곳 중 8곳이 자사 주력 제품의 시장이 경쟁이 치열한 ‘레드오션’에 접어들었다고 답변했다. 응답기업의 54.5%는 ‘성숙기’(시장 포화)라고 답했고, 27.8%는 ‘쇠퇴기’(시장 감소)라고 했다. 반면, ‘성장기’(수요 증가)와 ‘도입기’(시장 형성 초기)는 각각 16.1%, 1.6%에 불과하다고 응답했다.
1980년대 한국의 고도 성장을 견인했던 철강이나 석유화학, 자동차, 가전, 반도체 사업들이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거나 쇠퇴기에 들어섰다는 분석이다.
실제 성숙·쇠퇴기로 응답한 비중을 주요 업종별로 보면, 비금속광물이 가장 높았고, 대표적인 공급과잉 업종인 정유, 석유화학, 철강이 그 뒤를 이었다.
주요 업종의 글로벌 공급 과잉도 심화되는 상황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철강의 경우 2024년 글로벌 과잉생산능력이 6억3000만t에 달했으며, 2027년에는 과잉규모가 7억t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발 공급과잉이 심각한 석유화학업종도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향후 2~3년 동안 1500만t 수준의 에틸렌 및 범용 폴리머 신규 공장이 가동될 예정에 있어 2030년까지 공장 가동 하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경쟁은 더욱 격화되는 양상이다. 현재의 주력제품 시장에서 경쟁 상황이 어떤지를 묻는 질문에 “경쟁우위를 지속하고 있다”고 답변한 기업은 16.1%에 불과했다. 나머지 83.9%의 기업이 “경쟁우위가 거의 없거나 추월당했다”고 응답했다.
시장 포화도가 높고, 경쟁이 격화된 상황에도 불구하고 신사업 추진은 지지부진하다. 현재 주력 제품을 대체할 신사업을 착수했거나 검토 중에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10곳 중 6곳 기업에 해당하는 57.6%의 기업이 “현재 진행 중인 신사업이 없다”고 답했다.
신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에 대해 ‘자금난 등 경영상황 악화’(25.8%)와 ‘신사업 시장·사업성 확신 부족’(25.4%)을 꼽았으며, ‘신사업 아이템을 발굴하지 못했다’(23.7%)는 응답도 많았다. 이어서 ‘인력 등 제반여건 부족’(14.9%), ‘보수적인 경영 방침’(7.3%)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경영상황 악화, 인력 부족 등의 현실적 제약으로 신사업 추진은 물론 신사업 아이템을 발굴할 여력마저 약화되고 있다”며 “시장이 포화된 상황에서 미래 먹거리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면 신사업에 대한 확신 부족이 심화되고 기존 사업에 매달리는 보수적 경영이 고착화될까 우려스럽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