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노보 노디스크의 AI 전환

  • 동아일보

코멘트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경영저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2025년 8월 1호(422호)의 주요 기사를 소개합니다.


노보 노디스크의 AI 전환

글로벌 제약회사인 노보 노디스크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도입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도 높이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직원들은 AI로 업무를 개선하고, 그로부터 절약한 시간을 전략 기획이나 대인 업무 같은 인간적인 활동에 재투자하며 만족감을 느꼈다. 노보 노디스크는 AI 도입을 전사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AI 활용에 능숙한 고참 직원을 ‘챔피언’으로 내세워 노하우를 전파하도록 했다. 또한 기술 도입 이후 초기 열기가 식어 활용이 정체될 것을 미리 예측해 직무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과 지속적인 피드백을 강화했다. AI를 인간 능력을 증진시키는 도구로 정의함으로써 직원들의 문화적 저항을 극복했다.

AI 시대의 문화예술

모두가 AI를 사용하는 시대에는 역설적으로 AI만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기가 어렵다. 누구나 AI를 활용해 비슷한 수준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은 AI가 모방할 수 없는 고유한 가치, 즉 장기적인 비전과 독창적인 아우라에 달려 있다. 문화예술경영은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 회사만이 제공할 수 있는 고유성과 원본성을 확보하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기업은 단편적이고 보여주기 위한 문화예술 지원에서 벗어나 내외부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수단으로 문화예술경영을 추진해야 한다.



#노보 노디스크#생성형 인공지능#문화예술경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