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분양가와 강화된 대출 규제 속에서 ‘분양가상한제’ 적용 아파트가 2025년 부동산 시장의 핵심 흥행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주변 시세보다 수천만 원에서 최대 수억 원까지 저렴하게 공급돼 실거주와 시세차익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올해 분양 시장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건축비와 토지 가격 상승이 분양가 인상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948만8000원으로 전월 대비 2.5%, 전년 동월 대비 4.44%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3.3㎡당 4607만9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97% 급등했고 수도권도 2915만4000원으로 7.72% 올라 수요자 부담이 더욱 커졌다.
여기에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내 집 마련 문턱은 한층 높아졌다. 6.27대책에 따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강화와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 원 제한이 시행되면서 대출 가능 금액이 줄고 매수자가 부담해야 하는 자기자본은 크게 늘었다.
이런 상황에서 분양가상한제 적용 아파트는 ‘착한 분양가’로 공급돼 대출 부담을 줄이고 향후 안전마진까지 기대할 수 있어 실수요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실제로 해당 단지들은 청약 경쟁률도 높았다. 4월 의왕에서 분양한 ‘제일풍경채 의왕고천(B2)’은 1순위 평균 21.58대 1로 마감했고 7월 군포에서 분양한 ‘대야미역 금강펜테리움 레이크포레’는 최고 20.89대 1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자금 마련 부담이 큰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고 시세차익까지 기대할 수 있는 분양가상한제 단지에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며 “공급이 한정적인 만큼 적극적인 청약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