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은 반도체, 중년 여성은 IT 전문가로… 지역형 첨단 인력 키운다

  • 동아일보

코멘트

한국폴리텍대 성남캠퍼스
경기 대졸자-특성화-일반계고 대상
반도체 업계 진로-취업 연계 교육… 3월 말 기준으로 취업률 68% 기록
중장년 위한 여성재취업과정 운영… 챗GPT 활용법-코딩지도사 등 강의

올해 4월 한국폴리텍대 성남캠퍼스 클린룸에서 진로·직업 교육 ‘경기공유학교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이 반도체 방진복을 입고 실습하고 있다. 한국폴리텍대 성남캠퍼스는 반도체 기업과 가까운 캠퍼스 특성을 살려 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실습 교육을 제공한다. 한국폴리텍대 제공
올해 4월 한국폴리텍대 성남캠퍼스 클린룸에서 진로·직업 교육 ‘경기공유학교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이 반도체 방진복을 입고 실습하고 있다. 한국폴리텍대 성남캠퍼스는 반도체 기업과 가까운 캠퍼스 특성을 살려 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실습 교육을 제공한다. 한국폴리텍대 제공
지난달 30일 찾은 경기 성남시 한국폴리텍대 성남캠퍼스 반도체 클린룸. 흰색 방진복을 입은 수원 삼일공고 학생 15명이 반도체 공정에서 활용하는 장비들을 다루고 있었다. 삼일공고를 비롯한 경기도 9개 특성화고 학생 82명은 정기적으로 이 교육장을 찾아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반도체 현장에서 사용하는 복잡한 장비들을 직접 다루며 실습한다.

같은 날 반도체 제조 과정을 학습하는 ‘성남시 아카데미’ 수강생 12명도 다른 강의실에서 반도체 장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수업에 집중하고 있었다. PLC란 반도체 소자를 활용해 복잡한 자동화 공정, 데이터 연산 등을 처리하는 장치로 실제 반도체 공정에서 활용된다.

한국폴리텍대가 지역 특성화고 학생, 대졸 취업 준비생, 중장년 경력 단절 여성 등을 대상으로 반도체 및 정보기술(IT) 분야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하며 지역 상생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성남캠퍼스에서는 지역 내 대졸 취업준비생과 특성화고 학생에게 지역 상생형 반도체 특화 인력 양성 과정을 운영한다. 이 과정 입학생의 올해 3월 말 기준 취업률은 68%였다.

● 지역 주민과 기업 연계, 상생하는 반도체 실무 교육

한국폴리텍대 성남캠퍼스는 수원시 삼성전자, 이천시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기업들과 가까이 있는 지리적 이점을 살려 반도체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 중이다. 박수영 한국폴리텍대 성남캠퍼스 교학처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같은 반도체 대기업들이 근거리에 있어 기업에서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며 “교육과정에서 협업 및 취업 연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성남캠퍼스의 반도체 특화 과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대졸 취업준비생들을 대상으로 한 ‘성남시 아카데미’ △경기도교육청 소재 9개 특성화고 반도체 계약학과 및 일반계고 대상 ‘반도체 진로교육’ △반도체 기업과 협업으로 이뤄지는 직업계고 취업연계 프로그램이다.

성남시 아카데미는 대졸 취업준비생들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기업 취업 교육 프로그램으로, 성남시 및 경기도민 20명을 선발해 두 달 동안 반도체 설계 및 공정 기술을 가르친다. 수강생들에게 일 2만 원 식비 및 유류비를 지원하고, 기업 취업 연계까지 이어져 지역 대졸 취업준비생들에게 인기가 높다. ‘성남시 아카데미’ 출신으로 산업용 가스 센서 기업 가스트론에 취업한 이승민 씨(28)는 “올해 7∼8월 성남시 아카데미 수업에서 배운 내용으로 취업을 했다”며 “실제 산업 현장 장비들을 직접 다뤄 보고 실습한 것이 취업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한국폴리택대는 충북 청주캠퍼스, 경기 안성시반도체융합캠퍼스 등에서도 반도체 특화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 인근 청주캠퍼스는 ‘반도체 인력 양성센터’를 구축해 청주시 및 충북도민을 대상으로 반도체 특화 교육을 하고 있다. 2019년부터 올해까지 청주캠퍼스의 반도체 제조 운영 인력 양성과정 수강생의 취업률은 97.6%다.

● 중장년 경력 단절 여성 대상 IT 교육 인기

성남캠퍼스 2층 교육장에서는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여성재취업과정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생성형 AI 챗GPT를 활용해 홍보용 블로그 및 온라인 쇼핑몰 소제목 서식을 제작하는 강의였다. 이날 수업이 진행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과 수강생 14명 중 50대 여성 수강생은 8명, 60대 여성 수강생은 4명으로 중장년 수강생 비중이 높았다.

온라인 쇼핑몰 관련 업무를 하다 그만둔 박지민 씨(26)는 어머니 오미자 씨(53)와 함께 수업을 듣고 있었다. 박 씨는 “어머니도 온라인 쇼핑몰 운영에 관심이 있어 함께 수업을 듣고 있는데, 쇼핑몰 운영 방식이나 수익 구조에 대해 배울 수 있어 수업의 질이 높다”며 “쇼핑몰을 운영하는 수강생과 정보 교류도 할 수 있어 유익하다”고 말했다.

한국폴리텍대는 여성 경제활동 참여를 늘리기 위해 전국 36개 캠퍼스에서 여성재취업과정을 운영 중이다. 경제활동을 중단했거나, 경제활동을 한 적 없는 15세 이상 여성 1700명을 대상으로 3개월 이상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코딩지도사, IT테스터 등 85개 학과가 편성돼 있으며 지난해 기준 이 과정 수강생의 취업률은 67.4%였다.

이영석 한국폴리텍대학 직업능력운영부장은 “여성재취업과정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경력 전환과 재도약을 지원하는 직업교육사업”이라며 “실질적 취업 연계를 원하는 중장년 여성층의 수요를 반영하고, 새로운 직종에서 일하고자 하는 여성들이 자신감을 갖고 사회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폴리텍대#반도체 교육#성남캠퍼스#취업 연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