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인력·소통 중심으로 재난 대응 강화
저수지·배수장 운영 효율화 및 전문인력 양성
국민 소통 강화로 투명한 정보 제공
한국농어촌공사는 20일 올여름 극한 호우 경험을 바탕으로 ‘집중호우 피해 방지 개선 대책’을 수립, 예방 중심의 재난관리 체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시설, 인력, 소통 3개 분야를 중심으로 국민 안전을 위한 재난 대응력을 높인다.
공사는 7월 16~20일 폭우 기간 동안 사전 대비와 선제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했다. 호우 전 저수지 저수율을 평균 58.7%로 낮추고 수리시설을 점검했으며, 호우 중에는 7179명의 인력을 투입해 3181개 저수지와 824개 배수장을 관리했다. 저수지 하류 지역 주민 2885명을 사전 대피시켜 인명 피해를 줄이기도 했다.
다만, 극한 호우로 인해 일부 배수펌프 운영 차질 등 한계가 드러났다. 이에 공사는 ▲시설관리 효율화 ▲인력운영 고도화 ▲고객소통 강화 등 13개 개선 과제를 마련했다.
시설관리 효율화에서는 배수장 성능 개선과 펌프 모듈화(표준화된 설비 구성)로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저수지 모니터링과 경보체계를 강화해 인명 피해를 예방한다.
인력운영 고도화에서는 재난안전종합상황실 체계를 정비하고, 수리시설 감시원을 전문화한다. 전 직원을 대상으로 재난관리·긴급조치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위기 대응력을 강화한다.
고객소통 강화에서는 공사의 재난 정보와 대응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한다. 언론·고객 소통을 확대하고, 정책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체계화해 농어민과 국민이 재난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도록 지원한다.
공사는 하반기 중 세부 실행계획을 확정하고, 내년 홍수기 전 핵심 개선 사항을 우선 적용한다. 배수장 성능 개선과 펌프 모듈화는 예산과 시간이 필요해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김인중 사장은 “극한 호우의 교훈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 국민과 기후 위기 시대에 맞는 예방 중심 재난관리로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