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시금치 구매를 ‘1인 2단’으로 한정해 할인한다는 안내문이 적혀 있다. 폭염과 폭우에 취약한 시금치 생산이 줄며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시금치 생산자물가는 전월에 비해 171.6%나 뛰었다. 뉴스1
폭염과 폭우로 인해 지난달 농축산물 가격이 6% 가까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금치가 전월에 비해 171.6%, 배추가 51.7%나 오르는 등 폭염과 폭우에 쉽게 손상되는 채소류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20(2020년 수준 100)으로 전월(119.77)보다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6월(0.1%)에 이어 두 달째 상승세가 이어졌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낸다.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전월 대비 등락률을 품목별로 보면 농산물(8.9%), 축산물(3.8%)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5.6%였다. 이는 2023년 8월(7.2%) 이후 1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반면 공산품(0.2%), 서비스업(0.4%),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1.1%)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하거나 오히려 하락했다.
품목별로는 시금치(171.6%), 배추(51.7%), 쇠고기(6.5%), 돼지고기(4.2%), 기타 어류(11.3%), 넙치(9.3%), 농축 채소즙(12.7%) 등의 상승 폭이 컸다. 관광·숙박시설(49.0%), 휴양 콘도(24.1%) 등도 물가지수가 크게 올랐다. 반면 주택용 전력(―12.6%), 산업용 도시가스(―5.4%) 등은 지수가 떨어졌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7월 폭염과 폭우 등 기상 여건으로 채소 작황이 안 좋았다”며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행락철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폭염으로 인한 생육 부진과 폐사 증가 등 공급 부족이 겹쳤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