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TSMC-마이크론처럼 투자 늘리면 지분 인수 안할 것”

  • 동아일보

코멘트

삼성-하이닉스에 노골적 투자 압박
“반도체 예산 20억 달러 광물로 전환”
보조금 축소 움직임도 본격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미(對美) 추가 투자 계획을 밝힌 TSMC나 마이크론 등의 반도체 기업에 대해서는 보조금 지급에 따른 지분 인수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다른 반도체 기업들에도 추가 투자를 압박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21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행정부의 한 관계자는 “상무부는 미국에 투자를 늘리고 있는 TSMC와 마이크론 같은 회사의 지분을 인수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공약을 이행하지 않은 업체는 보조금을 받는 대가로 정부에 지분을 제공해야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미국의 보조금을 받는 반도체 기업들에 그 대가로 지분을 요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 임기 내 추가 투자 계획을 밝힌 기업에 대해서는 이를 예외로 해주겠다고 나선 것이다. TSMC와 마이크론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투자 규모를 늘리기로 했지만,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은 전임인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투자 계획을 밝힌 뒤 추가 계획을 아직 내놓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 같은 메시지는 지분 인수를 무기로 반도체 업체들에 대해 노골적으로 대미 투자 압박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 때 미국은 반도체법에 따라 TSMC에 66억 달러, 마이크론에 62억 달러, 삼성전자에 47억5000만 달러 등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바이든 행정부가 아무런 대가 없이 반도체 기업들에 돈을 퍼주려 했다고 비판해 왔다.

실제로 반도체 지원금을 축소하려는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미 행정부가 반도체법 예산에서 최소 20억 달러를 빼내 희토류 등 중요 광물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중국에 대한 자원 의존도를 줄이려는 목적인데, 이 방안이 실제 실행되면 삼성전자 등 반도체 기업에 돌아갈 보조금이 줄어들 수 있다.

앞서 미 행정부는 첨단무기 생산에 필수인 희토류 공급을 중국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판단하에 미 국방부가 희토류 업체 MP머티리얼스에 직접 투자하는 등 대응에 나선 바 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반도체 보조금을 광물 프로젝트에 쓰는 건 반도체 산업이 게르마늄, 갈륨 및 기타 필수 광물의 풍부한 공급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며 “미 행정부는 (이 같은 자금 전환이) 반도체법의 정신에 부합한다고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27억 달러에 달하는 칩스법 자금 운용에 있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더 큰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TSMC#마이크론#삼성전자#SK하이닉스#반도체 기업#보조금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