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혁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이 2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3년도 기초연금, 국민연금 등 총 11종 연금 중 1개 이상을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63만 6,000명으로 해당 전체 인구 대비 수급률은 90.9%이고, 2개 이상 연금을 동시 수급하는 경우도 37.7%라고 밝혔다. (세종=뉴스1)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는 최저생계비의 절반 수준을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퇴직 이후 소득이 끊겨도 국민연금을 받지 못하는 연령대가 포함된 60~64세는 절반 이상이 연금 소득이 없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연금통계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는 863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65세 이상 인구 중 연금 수급자 비율은 90.9%이다. 이 비율은 2016년 87.0%에서 꾸준하게 증가했지만 아직 고령층 10명 중 1명은 연금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받은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69만5000원이다. 이는 전년보다 4만5000원(6.9%) 올랐지만 같은 해 1인 가구 최저생계비인 124만 원의 절반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월평균 수급액의 중위수는 46만3000원이다. 기초연금 인상 효과로 전년(41만9000원)보다 5만 원 가까이 올랐지만 여전히 최저생계비의 3분의 1 수준이다.
월평균 연금 수급자가 가장 많은 수급액 구간은 25만~50만 원대로 전체의 50.9%를 차지했다. 50만~100만 원(31.1%), 100만~200만 원(8.2%), 200만 원 이상(5.9%)이 그 뒤를 이었다. 25만 원 미만은 4.0%로 가장 적었다. 기초연금에 물가상승률이 일부 반영되며 그동안 25만 원 이하에 머물던 수급액이 한꺼번에 상승한 것이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46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 수급자가 476만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9만2000원, 국민연금이 45만2000원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이번 통계에서 처음으로 소득공백 위험이 높은 60~64세 연령대를 세부구간으로 별도 조사했다. 이들은 회사에서 정년퇴직을 했지만 아직 국민연금 수령 연령(65세)에 이르지 못한 연령대다. 2023년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0~64세는 177만3000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42.7%에 그쳤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100만4000원으로 집계됐지만, 25만~50만 원대 구간 내 수급자 비율이 29.8%로 가장 높았다.
국민연금 및 노령연금 수급이 시작되는 63세를 기준으로 60~62세의 수급률은 24.8%, 63~64세는 69.9%로 다소 차이가 발생했다. 정부는 2023년부터 국민연금 수령 연령을 5년마다 한 살씩 상향 조정 중이다. 2034년부터는 수령 연령이 65세로 확정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