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지방 분양 2만 가구도 못 미쳐… 입지 중심으로 청약 경쟁 몰린다

  • 동아경제

코멘트
지방 분양시장에서 ‘새 아파트 가뭄’이 현실화되면서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트렌드가 한층 더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지방(수도권 제외) 일반분양 물량은 1만9900가구로 최근 5년 상반기 기준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 상반기 4만4891가구보다 55.67% 줄어든 수준이고 공급이 많았던 2021년 상반기 5만9317가구와 비교하면 66.45% 감소했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5만9317가구, 2022년 5만9039가구, 2023년 2만2657가구, 2024년 4만4891가구로 집계됐으며 올해는 2만 가구에도 미치지 못해 공급 절벽 우려가 현실화됐다.

수요는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방 세대수는 2021년 1월 1175만547가구에서 2025년 7월 1225만7737가구로 4년 반 만에 50만 가구 이상 증가했다.

공급 감소와 수요 증가가 맞물리면서 지방에서의 신축 선호 현상은 더욱 뚜렷해진다. 정비사업이 활발하지 않은 지역 특성상 노후 주택을 신축으로 대체하기 어려운 데다 넉넉한 주차공간과 커뮤니티 시설, 특화 설계 등 신축 단지의 품질 경쟁력이 부각되면서 가격 부담에도 불구하고 신축을 찾는 수요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시장 반응도 달라졌다. ‘미분양의 무덤’으로 불렸던 대구 수성구에서 올해 7월 공급된 범어 2차 아이파크는 1순위 평균 75.2대 1, 최고 148.5대 1의 경쟁률로 청약을 마감했다. 공급 희소성이 커진 상황에서 과거와 달리 치열한 경쟁이 벌어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어든 상황에서도 지방 세대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새 아파트 수요는 여전히 탄탄하다”면서 “하반기에도 유망 입지를 중심으로 경쟁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반기에는 지방 곳곳에서 신규 분양이 예정돼 있다. 현대건설은 부산 부산진구 가야동에 ‘힐스테이트 가야’를 선보일 예정으로 전용 76~84㎡ 487가구가 들어선다. 동의대역 초역세권 입지로 서면역, 사상역 접근성이 높고 전 가구에 층간소음 저감 설비가 적용된다.

한화 건설부문은 울산 남구 무거동에서 울산 첫 ‘포레나’ 브랜드 아파트인 ‘한화포레나 울산무거’를 분양할 계획이다. 지하 3층~지상 25층, 8개 동, 전용 84~166㎡ 816가구 규모로 조성되고 무거·신정·옥동을 잇는 트리플 생활권 입지를 갖췄다.

경남 김해 진례시례지구에서는 제일건설이 10년 민간임대 아파트 ‘김해 테크노밸리 제일풍경채’를 공급한다. 전용 84㎡ 단일면적 440가구 규모로 김해 서부로와 남해고속도로 진례IC 접근성이 좋다. 태영건설은 부산 부산진구 부암동에서 ‘서면 어반센트 데시앙’을 분양할 예정으로 아파트 762가구(일반분양 211가구)와 오피스텔 69실을 포함한 총 831가구 규모다. 부산지하철 2호선 부암역 초역세권 입지를 자랑한다.

충남 아산시 탕정지구에서는 동일토건이 ‘아산탕정 동일하이빌 파크레인’을 내놓는다. 지하 2층~지상 33층, 전용 84~152㎡ 총 821가구 규모로 이 중 738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탕정지구는 약 4300가구 규모의 도시개발지구로 조성되는 미니신도시급 주거타운이다.

강원 원주에서는 우미건설이 ‘원주역 우미린 더 스텔라’를 공급한다. 지하 3층~지상 43층, 927가구 규모로 전 가구가 전용 84㎡ 단일면적이며 KTX 원주역 도보권 입지에 위치해 기존 원주역 우미린 더 스카이와 함께 1827가구 규모의 브랜드 타운이 조성될 예정이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