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6일(현지 시간) 필라델피아 한화 필리조선소를 방문해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과 함께 현장 시찰을 하고 있다. 필라델피아=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한화그룹이 지난해 인수한 미국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에 50억 달러(약 7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26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한미 협력의 새로운 상징이 된 마스가(MASGA·미국 조선을 위대하게)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는 이날 마스가 프로젝트의 출발을 기념하는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명명식에서 한화필리조선소에 5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는 미국 해사청(MARAD)이 발주한 국가 안보 다목적 선박이다.
이날 명명식에는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 부부와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미국 측에서는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토드 영 인디애나주 상원의원 등이 자리했다.
이 대통령은 필리조선소를 둘러본 뒤 방명록에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필리조선소에서 한미 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서명했다. 이 대통령과 함께 필리조선소를 찾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도 환영사를 통해 “한미동맹을 더욱 공고하게 만든 미국 조선산업의 새로운 장을 함께 할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을 약속한다”고 강조했다.
한화는 필라델피아 조선소의 연간 건조 능력을 현재 1~1.5척 수준에서 20척 규모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크·안벽 확충과 블록 생산 기지 신설을 추진하며, LNG 운반선·함정 블록 제작 등으로 영역을 확대한다. 50억 달러 투자 재원은 한미 관세 협상의 핵심 성과로 조성된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산업 협력 펀드다.
같은 날 한화그룹이 미국에 설립한 해운 계열사 한화해운(한화쉬핑)은 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MR탱커)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한화필리조선소가 마스가 프로젝트와 관련해 수주한 첫 계약이다. 중형 유조선 10척 모두 필리조선소가 단독 건조하며 첫 선박은 2029년 초 인도될 예정이다.
한화 뿐 아니라 국내 주요 조선업체들도 마스가 프로젝트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전날 HD현대는 미국계 사모펀드 서버러스캐피털과 MOU를 맺고 미국 조선소 인수 및 현대화, 공급망 강화 등에 나서기로 했다. 삼성중공업도 미국 비거 머린 그룹과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MRO) 사업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