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부터 공항에서 비행기 탑승 때 보조배터리 합선 방지를 위해 제공되던 비닐봉투가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 절연테이프를 제공할 예정이다.
27일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보조배터리 기내안전관리 대책 보완 방안을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우선 기존에 합선 방지 조치를 위해 제공하던 비닐봉투를 더 이상 지급하지 않는다. 대신 항공사 수속카운터, 보안검색대, 탑승구, 기내 등에서 필요한 승객에게 절연테이프를 제공할 예정이다. 다만 승객이 자율적으로 비닐봉투 등 다른 방식의 단락 방지 조치를 하는 것은 가능하다.
국적항공사의 모든 항공기는 기내에 격리보관백을 2개 이상 탑재하도록 한다. 이는 기내 보조배터리 등 전자 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초기 진압 후 해당 기기를 안전하게 격리해 2차 화재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기내 선반에 온도 감응형 스티커도 부착한다. 선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스티거 색이 변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승무원이나 승객이 선반 내 온도 상승을 조기에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외에도 승무원들이 실제 소화기 사용을 포함한 진압훈련을 실시하도록 하고, 각 항공사는 관련 훈련 매뉴얼도 개정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9월 한 달간 보조배터리 기내안전관리 방안에 대해 항공안전감독을 집중 실시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사업개선명령 등의 조치를 할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