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산업부 예산 역대 최대… AI 전환 100%-통상 대응 68% 증액

  • 동아일보

코멘트

13.8조 편성, 재생에너지 등 육성
과기부도 23.7조로 최대 규모
농식품부 20조-우주청 1조 첫 돌파

정부가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주요 부처의 내년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로 확충한다. 인공지능(AI) 대전환(AX)을 통한 미래 경쟁력 확보, 미국발(發) 관세전쟁에 따른 통상·수출 대응, 농산물 수급 안정 등에 투입되는 예산이 대폭 늘어난다.

● 피지컬 AI, 통상 대응에 힘 싣는 산업부

1일 산업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13조8778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올해 본예산(11조4336억 원) 대비 2조4443억 원(21.4%)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확충된 예산은 산업 전(全) 분야에서의 AI 전환 확산과 첨단·주력산업 육성, 통상·수출 대응 강화 등에 집중 투자된다.

분야별로 산업 전반의 AI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예산은 올해 5651억 원에서 1조1347억 원으로 100.8% 늘린다. 특히 제조업에 AI를 접목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 비용은 낮추는 ‘AI 팩토리 선도 프로젝트’ 관련 예산이 1582억 원에서 2200억 원으로 39.1% 확대된다. 다양한 현장에 특화된 휴머노이드 로봇과 핵심 부품을 개발하는 피지컬 AI 관련 예산도 2149억 원에서 4022억 원으로 87.2% 급증한다.

반도체·바이오·조선·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 첨단 산업에서는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업종별 핵심 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관련 예산은 올해 1조3026억 원에서 내년 1조6458억 원으로 3433억 원(26.4%) 오른다.

미국의 관세 부과,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급변하는 통상 환경에서 한국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예산 역시 대폭 확충된다. 올해 1조340억 원이던 관련 예산은 7013억 원(67.8%) 늘어난 1조7353억 원으로 편성됐다.

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은 올해 8973억 원 대비 3730억 원(41.6%) 증가한 1조2703억 원으로 편성된다.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차원이다.

● 우주청 예산 1조 시대… 6대 분야 중점 투자

AI 주무 부처인 과기정통부의 내년 예산도 올해 추경 반영 예산(21조 원) 대비 12.9% 증가한 23조7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됐다. AI 분야 예산은 5조1000억 원으로 정부 전체 AI 예산(10조1000억 원)의 절반 수준이다. 연구개발(R&D) 예산은 11조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6% 늘었다.

과기정통부 산하 우주항공청은 처음으로 연간 예산이 1조 원을 넘었다. 내년도 우주청 정부 예산은 1조1131억 원으로 올해(9649억 원) 대비 15.4% 늘었다. 구체적으로 △우주 수송 역량 강화 및 신기술 확보(2642억 원) △위성 기반 통신·항법·관측 혁신(2362억 원) △도전적 우주 탐사(968억 원) △미래 항공기술 선점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511억 원)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1698억 원) △우주항공 전문인재 양성 및 실용적 외교(2549억 원) 등 6대 분야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도 내년도 예산안을 전년보다 6.9% 늘어난 20조350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 이번 예산안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이 1703억 원 규모로 신규 편성됐다.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69개 군 중 6곳을 선정해 약 24만 명에게 월 15만 원씩 지역화폐로 지급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농림축산식품부#인공지능#우주항공청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