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윈도10’, 내달 14일 지원 종료… “보안공백 우려”

  • 동아일보

코멘트

[AI 시대, 너무 쉬워지는 해킹]
국내 PC 2대 중 1대꼴 현재 사용
정부 “윈도11로 업데이트해야”

뉴시스
10월 14일부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운영체제(OS)인 ‘윈도(Windows)10’ 기술 지원과 보안 업데이트가 종료됨에 따라 ‘보안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윈도 OS의 사용 비중이 압도적인 국내에서는 아직까지도 PC 10대 중 5대 이상이 10년 전 출시된 윈도10을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국내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사용하는 윈도10 PC가 사이버 위협의 ‘먹잇감’이 될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것이다.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윈도10 지원 종료 대비 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비상 대응에 들어갔다. 특히 공공기관, 초중고교 및 대학, 전국 PC방 등을 대상으로 윈도11로 업데이트하라는 안내를 확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올 7월 기준 국내의 윈도10 점유율은 56.6%, 윈도11은 42%로 집계됐다.

윈도11 업데이트가 필요한 이유는 보안 우려 때문이다. 10월 14일부터 윈도10 이용자는 그간 무료로 제공받은 신규 보안 갱신(보안 패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신종 바이러스와 악성코드 등이 등장해 취약점이 발견되더라도 보안 업데이트가 이뤄지지 않아 손쉽게 감염될 수 있다는 얘기다.

사용 중인 PC가 윈도11 설치가 어려운 구형 PC인 경우에는 PC를 교체하거나 MS의 기술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우 윈도11 업그레이드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PC 교체 등 대응 역량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구형 윈도를 계속 사용할 경우 사이버 피해에 노출될 수 있다. 대표 사례로는 2017년 5월 전 세계 150개국을 강타한 ‘워너크라이’ 사태가 꼽힌다. 당시 랜섬웨어 워너크라이는 MS의 기술 지원이 종료된 윈도XP의 취약점을 공격했고, 전 세계 150개국에서 약 30만 대에 이르는 PC가 피해를 입었다.

#윈도10#윈도11#윈도10 기술 지원#윈도10 보안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