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효식 기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1일 서울 종로구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열린 보험회사 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01.[서울=뉴시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저축은행을 향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부동산 경기에 편승한 고위험 여신을 지양하고 지역 내 서민금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금융범죄를 막기 위해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모든 업무에서 금융소비자 관점으로 따져봐야 한다고 전했다.
이 원장은 4일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그동안 양적 성장과 단기 수익에 치우치면서 지역·서민 대상 자금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보다 고위험 부동산 대출에 치중한 측면이 있다”며 “앞으로는 부동산 경기에 편승한 고위험 여신 운용을 지양하고 지역 내 서민, 중저신용자, 소상공인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에 집중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긴 안목에서 신용평가 역량·인프라를 개선하고 비대면기반 확대, 지역 내 협업 등을 통해 영업기반을 강화하는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며 “금감원도 제도적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영업 활성화에 필요한 규제 합리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이 원장은 “PF 부실도 금융소비자에 대한 고려보다는 단기수익성에만 치중한 결과”라며 “상품 설계, 포트폴리오 기획 단계부터 판매와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금융소비자의 관점으로 득실을 꼼꼼하게 따져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스스로 금융소비자의 입장이 돼 내가 믿고 거래할 만한 저축은행의 모습을 떠올려 본다면 어떤 식으로 영업을 하고 리스크 관리를 해야 할지 올바른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서민과 영세 자영업자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제도 활용을 안내함으로써 금융소비자들이 본인의 권리를 충분히 누리고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저축은행 업계의 숙원사항인 영업규제 완화 논의도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식되고 나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저축은행별로 수립한 부실정리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최대한 확보해달라”고 밝혔다.
또 “1금융권 내부통제가 강화될수록 저축은행을 포함한 2금융권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융범죄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며 “이달부터 시행된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에 따라 저축은행 거래금액이 커지면서 금융사고 발생시 고객 피해도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부여한 라이센스로 영업하는 금융회사가 경제적 위해로부터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보다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