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램 1위’ SK하이닉스, 삼성전자와 격차 더 벌렸다

  • 뉴시스(신문)

코멘트

SK하이닉스, 1분기 이어 2분기도 1위
점유율 39.5%…전분기비 2.6%p 증가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9조원을 훌쩍 넘기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다.   AI용 메모리 수요가 늘어났고,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 12단 판매도 본격 확대됐다.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 매출 22조2320억원, 영업이익 9조2129억원(영업이익률 41%), 순이익 6조9962억원(순이익률 31%) 실적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2025.07.24 뉴시스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9조원을 훌쩍 넘기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다. AI용 메모리 수요가 늘어났고,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 12단 판매도 본격 확대됐다.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 매출 22조2320억원, 영업이익 9조2129억원(영업이익률 41%), 순이익 6조9962억원(순이익률 31%) 실적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2025.07.24 뉴시스
지난 1분기 전 세계 D램 시장 점유율 첫 ‘1위’를 달성한 SK하이닉스가 2분기 2위 삼성전자와 격차를 더욱 벌리며 선두 자리를 수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SK하이닉스의 D램 매출은 122억2600만 달러(약 17조원), 시장 점유율은 39.5%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분기 36.9%에서 2.6%포인트 점유율을 높인 것이다.

삼성전자는 매출 103억 달러(14조3000억원), 점유율 33.3%로 2위를 유지했다. 점유율은 전분기 34.4%에서 1.1%포인트 떨어졌다. 이에 양사 간 격차는 1분기 2.5%포인트에서 6.2%포인트로 확대됐다.

앞서 또다른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도 올 2분기 SK하이닉스의 D램 매출에 대해 전분기 97억 달러보다 25.8% 오른 122억2900만 달러로 발표했다. 점유율은 1분기 36%에서 38.7%로 올랐다.

2위 삼성전자의 2분기 D램 매출은 103억5000만 달러, 점유율 32.7%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13.7% 올랐지만 점유율은 1%포인트 하락했다.

트렌드포스가 집계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점유율 격차는 1분기 2.3%포인트에서 2분기 6%포인트로 벌어졌다.

이같은 차이는 고대역폭메모리(HBM)가 좌우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 2분기에는 D램 가격이 상승하고 출하량이 견조한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HBM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반도체 강자 엔비디아에 HBM을 주력 납품하고 있는 SK하이닉스의 승승장구는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내년 HBM 시장 규모는 591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SK하이닉스의 내년 매출액이 40조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예상한다.

한편 옴디아가 공개한 2분기 전 세계 D램 매출은 309억16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17.3% 증가했다. 트렌드포스 역시 2분기 D램 매출이 전분기 대비 17.1% 성장한 316억3000만 달러라고 발표한 바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