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최고기온 1도 오르면 물가 영향 2년 지속”

  • 동아일보

코멘트

35년동안 극한기후 영향 분석
“생산성 향상-보험 등 대비 필요”

하루 최고기온이 평년보다 1도 오르는 극한기상 현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2년간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폭염, 폭우 등 기후변화가 끼치는 경제적 영향이 커진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은 8일 ‘극한기상 현상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기상충격의 영향이 단기간에 그치지 않고 12개월 이상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한은은 1990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전국의 자료를 분석해 일 최고기온이 평균 기온보다 1도 높아지면 ‘고온충격’, 일 최다강수량이 평균 강수량보다 10mm 늘면 ‘강수충격’으로 구분했다.

고온충격은 발생 후 24개월 동안 소비자물가에 상승 압력(평균 0.055% 포인트)으로 작용했다. 고온이 노동생산성을 낮추고 운영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강수충격은 15개월 동안 상승압력(평균 0.033%포인트)을 줬다. 강수충격도 농수산물 등의 물가를 끌어올리지만, 서비스 수요 감소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고온충격보다 물가 상승 압력의 크기와 지속기간이 짧았다.

한은은 극한기상 현상이 심화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기후 대응 노력이 축소되거나 지연된다면 2051∼2100년 고온충격으로 인한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이 현재의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연정인 한은 기후리스크분석팀 과장은 “농·축·수산업 등 기후 취약 부문의 생산성 및 공급안정성을 확보하고 재난 대응 인프라 등 기후 적응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보험·금융 관련 안전장치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온충격#최고기온#최고기온 물가#극한기상 현상#물가 상승 압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