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ML, 미스트랄AI 최대주주로
2조원 투자… 이사회 의석도 확보
유럽 대표적 기술 기업간 연합
“독자적 AI 생태계 통해 美中 견제”
미중 간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이를 견제하려는 유럽의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업체 ASML이 ‘유럽의 오픈AI’로 불리는 프랑스 AI 스타트업 미스트랄AI의 최대 주주로 올라선 것이다. 미국, 중국의 AI 모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한편 독자적인 유럽 내 ‘AI-반도체 얼라이언스’를 확보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로이터통신은 7일(현지 시간) ASML이 미스트랄AI에 총 13억 유로(약 2조1200억 원)를 투자해 최대 주주에 오를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ASML은 이를 통해 미스트랄AI 이사회 의석을 확보할 전망이다. 이번 투자로 미스트랄AI의 기업가치는 100억 유로를 기록해 유럽에서 AI 기업 중 가장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다.
미스트랄AI는 2023년 구글 딥마인드, 메타의 파리 연구소 출신들이 설립한 프랑스 대표 AI 기업이다. 프랑스 정부의 강력한 AI 드라이브에 힘입어 유럽의 대표 AI 업체로 성장, 프랑스가 ‘AI 중심지’로 재도약하는 데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에는 삼성과 엔비디아, IBM 등으로부터 총 6억 유로의 투자를 받는 데 성공했다.
ASML은 TSMC, 인텔, 삼성전자 등의 반도체 초미세 공정에 반드시 필요한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를 독점 공급하는 반도체 업계의 ‘슈퍼 을(乙)’로 통한다.
이번 투자는 유럽의 대표적 기술 기업 간 기업 협동체로, 유럽의 독자적인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ASML이 미스트랄의 AI 기술을 통해 반도체 핵심 장비의 성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제품 개발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미중 의존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미중의 AI에 휘둘리지 않고 독자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동 국가들도 오일머니를 기반으로 소버린 AI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는 지난해 AI 및 첨단기술위원회(AIATC)를 발족했으며, ‘팰컨(Falcon)’이라는 자체 모델로 중동 지역 내 AI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나섰다. 사우디아라비아도 데이터 및 인공지능청(SDAIA)을 구축하고 국부펀드의 AI 투자를 확대하는 중이다.
최병호 고려대 AI연구소 교수는 “제조업 AX(AI 전환) 과정에서는 산업 기밀 유출 방지를 위해 자국의 AI 기술을 쓸 수밖에 없다”며 “국가 안보 차원에서도 AI가 전략무기화되고 있어 소버린 AI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장은지 기자 jej@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