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소비 개선세를 바탕으로 경기 회복 신호가 강해지고 있다는 낙관적인 진단을 내놨다. 미국발(發) 관세 부과, 건설 경기 등 대내외 불확실성 해소 여부가 경기의 향방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를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정책 효과 등으로 소비가 증가하는 등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가 강화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지난달 정부는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된 점을 언급하며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는데, 이달에는 ‘강화’라는 표현을 추가하면서 한층 더 낙관적인 진단을 내놨다.
7월 소매판매는 한 달 전보다 2.5% 증가했다. 2023년 2월(6.1%)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지난달 카드 승인액 역시 1년 전과 비교해 5.0% 늘어나며 전달에 이어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8월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도 전년 동월 대비 21.5% 늘었다.
다만 정부는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는 진단을 유지했다. 완전한 경기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대내외 불확실성의 전개 양상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기재부 관계자는 “건설 쪽이 얼마나 빠르게 반등할지, 수출 쪽에서 얼마나 지탱해 줄 수 있을지가 향후 경기에 중요한 요소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