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넷플릭스 이용 늘어, 지식서비스 6조 적자

  • 동아일보

코멘트

상반기 적자, 작년 하반기보다 커져
‘K콘텐츠’ 문화-여가서비스는 흑자

한국이 올해 상반기(1∼6월) 지식서비스 무역에서 45억 달러가 넘는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기업과 브랜드에 주는 로열티(사용료)가 늘고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인공지능(AI) 등의 구독이 늘어난 영향이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식서비스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적자는 45억3000만 달러(약 6조2600억 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37억6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이 7억7000만 달러 커졌다.

유형별로는 정보·통신서비스(19억6000만 달러), 문화·여가서비스(4억4000만 달러)에서는 흑자가 늘었지만, 지식재산권 사용료(―24억5000만 달러), 전문·사업서비스(―44억8000만 달러) 적자가 커졌다.

특히 넷플릭스와 챗GPT 유료 사용자가 크게 늘면서 컴퓨터 및 모바일소프트웨어 저작권 적자가 지난해 하반기(7∼12월) 6조1000억 달러에서 올 상반기 10억7000만 달러로 커졌다. 올해 5월 한국에 법인을 설립한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따르면 한국의 유료 구독자 수는 미국에 이어 전 세계 2위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지역에서는 35억7000만 달러 흑자를 거뒀지만 북미와 유럽에서는 각각 37억7000만 달러, 21억8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챗GPT#넷플릭스#지식서비스#지식서비스 무역통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