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후속협상]
8월 반도체 100%-의약품 250% 언급… 관세 인상땐 엔비디아-애플도 영향
국내 기업들 “美시장 불확실성 커져”… 우회 수출-현지 생산 확대 등 추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 시간) 영국 국빈 방문에 앞서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이야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반도체와 의약품에 자동차(25%)보다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AP 뉴시스
미국발 고관세 여파가 철강, 자동차를 넘어 반도체와 의약품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며 국내 산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한미 관세 협상이 최종 타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의약품 등 한국의 핵심 수출품에 대한 품목 관세 인상을 언급하면서 미국발 ‘관세 리스크’가 더 커지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최종 관세율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우회 수출로 확보, 미국 내 생산 기지 확대 등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 반도체, 의약품 압박 나선 美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 시간) “반도체와 의약품의 이익률이 (자동차보다) 더 높다”며 이들 품목의 관세가 자동차 관세(25%)보다 더 높게 부과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지난달 반도체에 대해 100%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했고, 의약품에 대해서는 단계적으로 150%부터 250%까지 올리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강경한 관세 인상 기조를 이어가는 것은 자국 산업계를 달래고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넓히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당초 반도체 관세 인상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직접적인 관세 인상의 ‘피해자’가 엔비디아나 애플 등 미국 빅테크 기업이기 때문이다. 또 정보기술(IT), 자동차, 가전 등 모든 분야에 반도체가 들어가기 때문에 반도체 관세 인상이 국내 물가 인상으로 즉각 이어져 경제에 부메랑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점도 낙관론의 근거가 됐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반도체 관련 품목별 관세 인상률을 언급하면서도 미국에서 생산하거나, 투자하는 기업은 예외로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언급으로 반도체 역시 관세 인상의 ‘안전 지대’는 아니게 됐다는 게 국내 산업계의 분석이다.
한 대기업 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말 바꾸기로 인해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미국 투자를 비롯한 각종 경영 계획을 세우는 데 차질을 빚고 있다”고 했다.
● 韓 기업, 우회 수출·美 생산 확대
국내 기업들은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내부 전략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최혜국 대우를 받지 못할 상황을 가정해서, 미국 수출 비중을 최소화하고, 이를 일본이나 대만 등으로 우회하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관세 인상에 따라 한국보다 미국의 생산비용이 낮을 경우 중장기적으로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것도 고려해 봄 직하다”고 했다.
국내 의약품 업계에서도 관세 인상에 대비해 미 현지 생산 확대에 서둘러 나서고 있다. 셀트리온은 현재 미국의 항체 의약품 생산공장 인수에 나섰다. SK바이오팜은 미국령인 푸에르토리코에 생산 거점을 마련했다.
다만 산업별·품목별로 온도 차이는 분명히 존재한다. 반도체의 경우 자동차 등과 달리 국내 생산분 중 미국 수출 비중이 7% 안팎에 불과하다. 관세 인상을 하더라도 국내 업체들의 피해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의약품 역시 미국발 관세 인상이 이뤄져도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쪽으로 피해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가 유럽연합(EU), 일본과의 무역협정에서 제너릭(저분자화합물 복제약)의 관세는 면제해 주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아직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언급은 없는 상황이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의약품은 총 39억8000만 달러(약 5조5000억 원)로, 이 중 65%가량이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파악된다.
김정호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한국 기업들이 반도체나 의약품 분야에서 100% 이상의 품목별 관세를 맞을 수 있다고 가정하고 대비해야 한다”며 “어렵지만 경쟁자와의 기술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