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서울 떠난 매수세, 경기 아파트 거래 3개월 연속 3000건대
뉴스1
입력
2025-09-21 11:27
2025년 9월 21일 11시 27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대출 한도 6억 벽에 막혀, ‘대체지’로 경기·인천으로
전문가 “대출 규제 지속 시 탈서울 행렬 계속될 것”
서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자료사진) 뉴스1
서울 거주민의 경기도 아파트 매입 건수가 3개월 연속 3000건을 넘어서며 수도권 외곽으로 확산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높은 아파트 가격과 강화된 대출 규제가 맞물리면서 서울을 떠나는 실수요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19일 기준 지난달 경기도 집합건물을 매수한 서울 거주자는 총 3463명으로, 전월(3349명) 대비 3.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8월 거래분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인 점을 고려하면 최종 수치는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서울 거주자의 경기도 매수세는 올 5월까지만 해도 2000건대에 머물렀다. 하지만 6월 들어 3432건으로 치솟으며 6개월 만에 3000건대를 회복했고, 7월 3349건에 이어 8월에도 3463건으로 석 달 연속 3000건 이상을 기록했다.
서울과 맞닿은 주요 지역이 대표적인 수요처로 꼽힌다. 광명은 6월 172건에서 7월 177건, 8월 251건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분당 역시 지난달 191건으로 크게 늘었으며, 하남도 6월부터 268건을 기록한 뒤 3개월 연속 200건대를 유지했다.
인천 역시 서울 수요의 확산이 나타났다. 올해 초만 해도 서울 거주자의 인천 아파트 매입 건수가 300건대에 불과했으나, 6월 들어 900건대로 급증하며 분산 수요의 대표 지역으로 떠올랐다.
6월을 기점으로 경기도의 서울 거주민 거래가 늘기 시작한 배경에는 6·27 대책이 자리한다.
정부는 당시 수도권과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했다.
이로 인해 가격대가 높은 서울 아파트는 대출만으로는 사실상 매입이 어려워졌고,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경기도 아파트가 대안으로 떠올랐다는 분석이다.
심형석 우대빵 부동산 연구소 소장 겸 미국 IAU 교수는 “서울 거주민이 경기도에 집을 샀다는 건 투자보다는 실수요”라며 “거래량이 늘어난 건 아무래도 대출 규제로 인해 자금에 맞는 집을 찾다가 경기도로 이동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진형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회장(광운대 교수)은 “6억 원의 한도로는 서울 내 매수할 수 있는 집이 한정적”이라며 “그러다보니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낮은 경기도 쪽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서울의 높은 진입 장벽과 대출 규제가 지속되는 한, 당분간 경기도와 인천으로의 ‘탈서울 매수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정치적 제스처” vs “중국 견제” 트럼프 바그람 기지 반환 요구 둘러싼 논란
국정자원 장애 시스템 복구율 24.1%로…‘온-나라문서’ 복구
횡성 도로서 SUV 끼리 충돌…4명 중경상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