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블루 암모니아 등 신성장 산업 강화

  • 동아일보

코멘트

[진화하는 한국건설]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가 설치된 포천복합화력발전소. DL이앤씨 제공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가 설치된 포천복합화력발전소. DL이앤씨 제공
DL이앤씨가 친환경 신사업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 나섰다. 올해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소형모듈원전(SMR)과 탄소중립 핵심 기술인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등 미래 기술을 고도화하고 건설 산업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활용해 신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DL이앤씨는 특히 SMR 전문 설계 업체인 미국 엑스에너지와 손잡고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2023년부터 엑스에너지에 2000만 달러(약 300억 원)를 투자하면서 전략적 동반자로 참여해왔다. 특히 엑스에너지는 선진원자로실증사업(ARDP)을 통해 2020년 미국 정부로부터 12억 달러(약 1조7000억 원) 규모 보조금을 지원받아 미국 최대 화학 기업 다우의 SMR 초도호기(첫 번째 완성품)를 추진하고 있다. 엑스에너지는 올해 2월 아마존 등에서 7억 달러(약 1조 원)를 투자받을 정도로 기술력과 경제성을 인정받고 있다.

엑스에너지와의 협력은 에너지 사업 분야에서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할 전망이다. 엑스에너지의 SMR 기술은 전력 생산뿐 아니라 여러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다. SMR 가동 때 발생하는 600도 이상의 높은 열을 또 다른 친환경 에너지원인 수소, 암모니아 생산에 활용하는 식이다. DL이앤씨는 이 특성을 고려해 SMR 사업과 접목한 친환경 에너지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DL이앤씨가 엑스에너지의 EPC(설계·조달·시공) 파트너로서 초기 단계부터 협력해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이러한 배경은 단순히 향후 수주 가능성을 넘어 SMR의 표준화가 진행될 경우 후속 프로젝트에서 연속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고 말했다.

지난 80여 년간 건설업에서 축적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활용하면 CCUS 분야에서도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고 DL이앤씨는 보고 있다. DL이앤씨는 CCUS 사업 진출을 위해 2022년 ‘카본코’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석유화학·발전 산업은 기본적으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 배출이 뒤따른다. 이런 CCUS 수요는 수주로 이어졌다. 지난해 11월 DL그룹은 캐나다 비료 업체 제네시스 퍼틸라이저스와 비료 공장의 설계와 기술 라이선싱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공장은 천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블루 암모니아를 뽑아 비료를 생산하는 친환경 플랜트다. DL이앤씨는 기본설계(FEED)를 맡고 자회사인 카본코는 CCUS 기술 라이선스를 공급한다. DL그룹은 이번 계약을 통해 북미 블루 암모니아 시장에 진출하는 첫 발판을 마련했다.

앞서 DL이앤씨는 이번 사업과 동일한 공정의 사우디아라비아 마덴 암모니아 공장 2기(2·3호기)를 건설하는 사업을 수주했고 EPC를 맡아 성공적으로 공사를 마쳤다. 하루 생산량은 최대 6600t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암모니아 공장이다. 2호기는 2016년, 3호기는 2022년 각각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최근 미국과 캐나다 등이 잇따라 친환경 사업 지원 방침을 발표하며 관련 플랜트 신규 발주가 확대되는 분위기여서 북미 지역에서의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카본코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이산화탄소 흡수제 개발에 성공해 실증 테스트를 하고 있다. 흡수제는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뽑아내 분리하는 액상 형태의 물질이다. 화력발전소나 제철소 등 이산화탄소가 다량 발생하는 곳에 적용하면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어 전 세계의 관심이 높다. 카본코가 개발한 흡수제는 이산화탄소 포집 과정에서 통상 사용하는 흡수제(모노에탄올아민)보다 46% 이상 에너지 소비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카본코는 흡수제의 경제성을 앞세워 북미 등 글로벌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탄소중립의 또 다른 대안인 ‘광물탄산화’ 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광물탄산화는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탄산칼슘이나 탄산마그네슘과 같은 고체 형태로 바꾸는 기술이다. 지난해 7월에는 생산이 끝난 폐갱도에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는 국책과제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제철소 굴뚝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슬래그(제철 과정에서 얻는 부산물)와 섞어 고체 덩어리로 만든 다음 폐갱도에 매립해 저장하는 방식이 추진된다.

#건설#기업#한국#DL이앤씨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