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세계 2000대 기업의 성장세를 국가별로 나눠 분석해 보니 중국 기업의 성장속도가 한국 기업의 성장속도보다 6.3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23일 기업들의 성장 부진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K-성장 시리즈’의 일환으로 미국 경제지 포브스 통계를 분석해 ‘글로벌 2000대 기업의 변화로 본 한미중 기업 삼국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2000대 기업에 든 미국 기업은 10년 전인 2015년 575개에서 현재 612개로 37개 늘었다. 그 사이 중국은 같은 기간 180개에서 275개로 95개 증가했다. 반면 한국은 66개에서 62개로 줄었다. 중국 기업이 10년 새 52.7% 늘어나는 사이 한국 기업은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포브스 글로벌 2000’은 시장 영향력, 재무 건전성, 수익성이 좋은 기업들을 선별한 목록이다.
이 같은 차이는 국가별 기업 생태계의 성장세에서도 드러났다. 글로벌 2000대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합산매출액은 2015년 1.5조 달러에서 올해 1.7조 달러로 10년간 15% 성장하는데 그쳤다. 반면 중국 기업들의 합산매출액은 같은 기간 4조 달러에서 7.8조 달러로 95% 성장했다. 중국 기업들의 성장 속도가 한국 기업들의 6.3배에 달한다고 볼 수 있다. 미국 또한 2015년 11.9조 달러에서 올해 19.5조 달러로 65% 성장했다.
대한상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은 알리바바와 비야디(BYD), 텐센트홀딩스, BOE테크놀로지 등 첨단기술, IT 분야 기업들이 성장을 이끌었고, 미국 또한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유나이티드헬스 등 첨단산업과 헬스케어 기업들이 성장을 주도했다. 반면 한국은 SK하이닉스와 LG화학 등 제조업을 제외하면 금융 기업들의 주도로 성장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기업의 성장 속도를 높이기 위한 규제 완화를 촉구했다. 한국 기업 생태계는 기업이 성장할수록 지원은 줄어들고 규제는 늘어나는 구조로 기업이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성장할 유인이 적다는 것이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도 이달 초 기업성장포럼 출범식에서 “메가 샌드박스라도 활용해 일정 지역, 일정 업종에서라도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대한상의는 “반도체, AI 등과 같이 대규모 투자와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첨단 산업군에 한해서라도 우선적으로 차등규제를 제외해 산업경쟁력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