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래카메라 아니죠?”…‘조직 해체→생존’ 급반전에 금융위 또 ‘패닉’

  • 뉴스1

코멘트

환호·분노 교차하는 금융위…“이럴 거면 왜 난리쳤나”
설마 또 바뀌는 건 아니죠?…“안심하기는 이르다” 신중론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금융위원회 모습. 2025.9.8/뉴스1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금융위원회 모습. 2025.9.8/뉴스1
정부·여당이 정부조직법 개정안에서 ‘금융당국 조직개편’ 내용을 제외하기로 하자 금융위 내부가 다시 한번 요동치고 있다. 조직 해체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사실에 한숨을 돌리면서도, 하루아침에 뒤집힌 조직 운명에 황당하다는 반응도 나온다.

당정은 25일 국회 회동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금융위원회의 정책·감독 기능 분리와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을 담지 않기로 결정했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여야 대립으로 필리버스터는 물론 패스트트랙 지정까지 고려되는 상황에서 정부조직법이 소모적 정쟁과 국론분열 소재가 돼선 안 된다고 판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당초 민주당은 이날 본회의에서 금융위를 해체하고, 금감원을 두 개로 분리하는 내용이 담긴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처리하기로 예고한 상태였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금융위 안팎에서는 허탈감과 안도감이 뒤섞였다. 한 관계자는 “설마 또 번복하는 건 아니겠죠”라며 눈을 의심했다. 이어 “그럴 거면 왜 그동안 조직을 괴롭혔느냐”고 허탈감을 토로했다.

또 다른 직원도 “몰래카메라 아니냐”며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궁금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간 금융위 공무원들은 금융감독원과 달리 신분상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없어 조직 해체 논란에도 ‘속앓이’만 해왔다.

내부 의견을 모으기 위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까지 열었지만, 고위급들의 ‘내부 단속’에 성명서 한 번 내지 못한 채 묵묵히 조직개편 준비에 임해야 했다.

이날 내부 오픈채팅방에서는 조직 개편 반대 투쟁을 해온 금융감독원 직원들의 덕을 본 것이라며 “금감원 쪽으로 향해 절을 해야 한다”는 반응도 나왔다.

다만 일각에선 조직개편을 전면 백지화한 것은 아니어서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한 정책위의장은 “법률 개정 없이 금융감독 체계상 소비자 보호 기능에 공공성·투명성 제고 방안을 우선 마련해 진행할 예정”이라며 “당정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정부조직법 수정안을 마련해 본회의에 제출하겠다”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