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검사만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 진단 가능성 찾았다”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1월 15일 11시 15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혈액 검사만으로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신경 퇴행성 뇌 질환 등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공학과 연구팀은 ‘APLP1 단백질(Amyloid precursor-like protein 1, APLP1)’이 뇌 질환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핵심 바이오마커임을 지난 1일 국제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밝혔다.

바이오마커는 세포나 혈관, 단백질, DNA 등을 이용해 질병·약물 등으로 인한 우리 몸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다.

연구팀은 혈액 속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에 있는 APLP1이 뇌에서 특이하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혈류에는 EV가 혼합돼 있는데, 뇌에서부터 나온 것들을 BDEV라고 한다.

BDEV의 특징은 막에 뇌의 특이적 단백질인 APLP1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BDEV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방식에 주목했다. 순환하는 EV 환경에서 BDEV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면 다른 장기로 방출된 소포를 걸러낼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BDEV 중심의 접근 방식을 활용해 주기적인 평가를 한다면 뇌와 관련된 질병을 일찍 진단 할 수 있다. 뇌 건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적이 질병을 선제적으로 예방·완화해 신경 퇴행성 질환 관리에도 좋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연구팀은 몸 조직 APLP1의 분포를 밝히기 위해 장기에서 RNA와 단백질을 추출했다. APLP1 발현은 뇌세포 중 과립세포와 뉴런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즉 이것이 뇌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악성 뇌종양 중 하나인 교모세포종을 대상으로 뇌 질환 진단 가능성을 검증했다. 기존 바이오마커들과 비교한 결과 APLP1이 가장 높게 발현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APLP1이 뇌종양을 더 잘 탐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APLP1을 활용하면 뇌 질환 등을 조기 발견 할 수 있고, 낮은 비용으로 여러 번 검사할 수 있다“며 ”신경 진단 패러다임을 재구성할 수 있는 강력한 조합이다“고 전했다.

차의과대학교 생명공학과 문지숙 교수는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조기진단, 치료법 개발 연구의 플랫폼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며 “뇌 종양 등 여러 뇌 질환 진단 영역까지 확대하여 난치병 진단과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다”고 전했다.

#피검사#치매#파킨슨#조기진단#의과대학#바이오마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