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끊었는데 잠 안와”…플라스틱이 수면 방해한다고?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5월 13일 20시 00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 속 화학물질이 우리 몸의 생체리듬을 교란시켜 수면장애는 물론, 당뇨병이나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은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NTNU) 연구진이 의료용 PVC 튜브, 폴리우레탄 물주머니 등에서 방출된 화학물질이 생체 시계를 조절하는 신호를 교란시킨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보도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은 생체리듬을 최대 17분까지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인 마틴 바그너 박사는 “생체리듬은 건강과 생리 기능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플라스틱에 들어있는 수천 종의 화학물질 중 일부가 세포 교란을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생산 방식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이 ‘아데노신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아데노신 수용체는 수면과 각성에 관여하는 신호를 전달하는데, 커피 성분인 카페인은 이 수용체를 차단해 졸음을 막고,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은 수용체를 자극하면서도 비슷하게 잠을 방해하는 효과를 보였다. 즉, 방식은 다르지만 몸의 생체리듬을 깨트린다는 점은 유사한 결과를 초래하는 셈이다.

바그너 박사는 “아데노신 수용체는 뇌에서 ‘아침이 왔으니 하루를 시작하라’ 등의 신호를 몸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이 이 신호 전달을 막으면서 자연스러운 생체리듬이 늦춰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 15~17분의 변화가 대수롭지 않을 수 있지만, 생체리듬은 아주 미세한 차이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결코 가벼운 변화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연구진은 PVC가 장난감, 식품 포장재 등 일상생활 곳곳에 사용되는 만큼 연구를 계속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향후 발표되는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규제당국에 법적 규제 강화를 촉구하고 플라스틱 제조업체에 유해 화학물질 제거를 요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Environmental International’에 게재되었다.
#플라스틱#수면방해#생체리듬#불면증#커피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