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중단할 뜻을 보이지 않는 러시아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이기로 하자 러시아는 강하게 반발했고, 우크라이나는 반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대(對)러시아 관세 제재의 유예 시한을 기존 ‘50일’에서 ‘10~12일’로 대폭 앞당기겠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지는 과정에서 취재진을 만나 “그(푸틴)에게 준 50일을 더 적은 수로 줄이겠다”며 “향후 10~12일”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14일 “러시아가 50일 안에 전쟁을 멈추지 않으면 혹독한 관세를 부과하겠다. 러시아산 원유 등을 수입하는 국가들에도 최대 100%의 ‘2차 관세’를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곧바로 반박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 겸 전 대통령은 28일 X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최후통첩 게임’을 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이스라엘도 이란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시한 단축은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직접 참전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미국을 전쟁으로 이끄는 발걸음”이라고 경고했다.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슬리피 조(Sleepy Joe·졸린 조 바이든)의 길을 가지 말라”는 인신공격성 비난도 퍼부었다. 슬리피 조는 트럼프 대통령이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종종 공개석상에서 졸았고 무능했다고 주장할 때 즐겨 쓴 말. 이를 고스란히 트럼프 대통령에게 되돌려준 것이다.
반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러 제재 강화를 반겼다. 그는 X에 게재한 영상 성명을 통해 러시아의 폭주를 멈추게 하려면 “제재가 핵심 요소라는 점을 반복해서 말해왔다. 이 끔찍한 전쟁을 멈추는 데 집중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께 감사한다”고 말했다.